Search

AI와 피아노

발행일
2025/01/31
저자
권미혜
소속
서원대 음악 교육과 교수
쪽수
122쪽
차례
악기와 음악과 기술 01 피아노의 역사 02 피아노 관련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03 인공지능과 피아노 연주 04 인공지능과 작곡 05 인공지능의 피아니스트 음색 구현 06 인공지능을 이용한 피아노 교습 07 인공지능과 디지털 피아노 08 인공지능에 의한 피아노 생산과 관리 09 인공지능과 현대 음악 10 피아노의 미래
정가
12000원
ISBN
9791173074288
분야
예술
2 more properties
미리보기
피아노와 음악에서의 AI 기술 발전을 탐구한다. 피아노는 복잡한 공학적 원리로 음악을 창출하며 음악은 수학적 기반을 두고 발전해 왔다. AI와 음악, 특히 피아노의 융합을 다루며 음악 창작에서 AI의 역할과 미래 가능성을 제시한다.
크리스토포리의 새로운 메커니즘은 혁신적이었다. 연주자의 건반 터치에 즉각 반응해 음이 생성되고 표현력의 한계가 넓어졌다. 연주자가 건반을 세게 누르면 세게 누른 대로, 여리게 누르면 여리게 누른 대로 음이 변화했다. 연주자의 터치에 따라 여리고 강하게 자유자재로 음이 만들어지는 악기는 하프시코드 연주자들에게는 놀랍기만 했다. 이러한 이유로 크리스토포리의 새로운 메커니즘의 악기는 처음에 “클라비쳄발로 콜 피아노 에 포르테(clavicembalo col piano e forte)”라는 복잡한 이름으로 불렸는데 이는 “여리고(piano) 세게(forte) 연주할 수 있는 하프시코드”를 의미한다. 이 이름에서 앞의 단어들이 없어지고, 여리고 세게 연주할 수 있다는 뜻만 남아서 “피아노 포르테(piano forte)”로 불리다가 지금의 피아노로 굳어졌다. -01_“피아노의 역사” 중에서 단순한 음표의 소리화는 간단한 기계도 가능하다. 다른 음악적 표현을 제외하고 음표만 소리로 바꾸는 자동 연주 피아노 기술은 100년도 더 된 기술이다. 1895년 미국 발명가 에드윈 보테이(Edwin Votey)는 ‘피아놀라(Pianola)’라는 이름의 장치를 발명했다. 피아노에 부착할 수 있는 기계로, 페이퍼 롤에 구멍을 뚫고 롤을 돌리면 그 패턴에 따라 피아노 건반 아래의 액추에이터(actuator)가 동작하여 액션을 자동으로 누르는 구조였다. 겉으로 보기엔 건반이 자동으로 눌리는 것처럼 보여 유령이 피아노를 친다고들 말했다. 피아놀라는 페이퍼 롤로 표현된 악보에 그려진 음을 빠뜨리지 않고 충실히 소리화할 수 있었지만 어떠한 음악적 표현도 기대할 수 없었다. -03_“인공지능과 피아노 연주” 중에서 야마하는 ‘디스클라비어(Disklavier)’라는 피아노도 선보였다. 이는 어쿠스틱 그랜드 피아노에 디지털 기능을 추가한 하이브리드 피아노다. 온라인으로 연결된 피아노에 의해 학습자와 물리적으로 떨어진 곳의 교수자가 연주를 정확하게 듣고 피드백할 수 있다. 켄터키대학교(University of Kentucky), 맨해튼음악학교(Manhattan School of Music) 등 많은 학교에서 이를 활용하고 있으며, 원격 마스터 클래스와 협업 연주에도 활용되고 있다. -06_“인공지능을 이용한 피아노 교습” 중에서 반면, 지금의 인공지능은 현대 음악의 도구로서의 한계도 뚜렷하다. 인공지능은 결국 자신이 학습한 데이터 안에서 패턴을 찾는 것이기에 인간의 창의성에 단서를 제공할 수 있어도 자신이 학습한 기존의 음악적 문법에서 완전히 자유롭기 어렵다. 전통적인 음악 규범에서 벗어남을 현대 음악의 특징으로 정의한다면, 오히려 인공지능은 학습한 음악 규범 내에서 창작하기에 현대 음악에서 멀어지게 되는 아이러니가 될 수도 있다. 인공지능이 케이지의 <4분 33초>와 같은 혁신적인 음악을 스스로 생성할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09_“인공지능과 현대 음악” 중에서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5610091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56416697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1797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