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미리듣기
인공지능 기술이 가정과 일상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쉽게 설명했다. 스마트홈과 스마트 빌딩의 변화, AI 기술의 활용 사례, 정부의 AI@Home 프로젝트 등을 다루며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게 친숙한 사례로 구성했다. 스마트홈과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가전제품의 성능이 향상된 데에는 제도 및 규제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에어컨 및 냉장고의 효율 향상이 대표적인 예다. 국내에서 공산품을 제조 또는 판매하기 위해서는 강제적으로 따라야 하는 규제가 있다. KC 인증이 대표적이다. KC 인증(Korea Certification Mark, 국가통합인증마크)은 국가에서 강제하는 인증이다. KC 인증에는 전기안전 인증, 전자파 인증, 승강기 안전 인증, 에너지소비효율등급 인증 등이 있다.
-01_“가정의 스마트 제품 및 기술” 중에서
스마트홈에 사용되는 AI 가전제품들은 아직 한창 개발 중이고, 앞으로 어떠한 양상으로 시장에 정착될지는 지켜봐야 한다. AI 스피커와 같이 개발되었다가 주춤하여 더는 국내 제조사의 신제품이 출시되지 않기도 한다(이경탁, 2023). 소비자의 입맛은 까다롭다. 조금이라도 쓰기에 불편하면 언제든지 외면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시험 표준 및 인증 제도는 개발된 제품이 사장되지 않게 선순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표준에 의하여 정확한 시험을 거쳐 소비자 또는 생산자에게 올바른 제품 성능 정보를 제공하고 생산자 간 선의의 기술 경쟁으로 품질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 가전제품 에너지소비효율 등급 제도다. 생산자와 관계 당국은 사회적 비용이 들더라도 AI 기술 발전을 위하여 다각적인 접근을 유도해야 한다.
-04_“AI 스마트 제품, 홈의 평가체계” 중에서
인식률은 제품에 내장되거나 연결된 소리 센서 등 하드웨어적 성능뿐만 아니라 거리나 주변 생활소음에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데, 거리가 멀어질수록 그리고 주변 소음이 심할수록 음성 인식률은 현저히 떨어진다. 로봇청소기가 ‘윙’ 하는 소리로 청소할 때, 멀리서 부르면 제품이 응답하지 못하는 것이 좋은 예다. 이는 문맥을 이해하고 글을 작성하는 AI 기술 분야의 중요성만큼, 음원 신호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걸러내는 신호 전처리 기술과, 멀리서도 깨끗한 음질로 감지할 수 있는 센서 기술도 상당히 중요함을 의미한다.
-06_“스마트홈과 음성 인식 기술” 중에서
이상의 일부 법률 발췌 내용에서 보듯이 AI 시대상을 반영하여 관련 법들이 개정되고 있다. 또한 신규로 제정되는 법안(일명 “인공지능 법”)도 있는데 아직 국회에서 계류 중이다. 해당 법안은 인공지능 산업 및 서비스를 규율하는 국내 첫 법령으로, 인공지능 산업 육성, 신뢰 기반 조성, 고위험 영역 인공지능 규제, 인공지능 산업혁신기업에 대한 지원 및 책무 등을 포함하고 있다.
-09_“국내외 AI 정책 및 동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