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명
@김윤명
디지털정책연구소(DPI) 소장이다. 남도의 니르바나 해남에서 태어났다. 광주 인성고등학교와 전남대학교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에서 지식재산법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네이버에서 정책수석으로 일했고,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에서 SW·AI 법에 대해 연구했다. 국회에서 (박정어학원의 그) 박정 의원 보좌관으로, 이재명 경기도지사 캠프 및 인수위인 새로운경기위원회에서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대통령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AI-IP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기율특허에서 연구위원으로, 법무법인원의 전문위원으로 있다. 경희대 법무대학원에서 ‘인공지능법’을, 전남대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에서 ‘데이터사이언스 법과 윤리’를 강의했다. 글쓰기를 좋아해 《생성형 AI 창작과 지식재산법》,《인공지능의 생각》, 《블랙박스를 열기위한 인공지능법》, 《게임법》, 《로보스케이프》, 《인공지능과 리걸프레임》, 《소프트웨어와 리걸프레임》, 《게임서비스와 법》,《인터넷서비스와 저작권법》 등의 책을 혼자 쓰거나 동료와 같이 썼다. 그 중 《블랙박스를 열기위한 인공지능법》은 교육부 우수 학술도서로, 《게임법》, 《게임서비스와 법》 및 《인터넷서비스와 저작권법》은 문화부 세종도서(우수 학술도서)로 선정되기도 했다. 늘상 시를 짓고 사진을 찍는다. 아이들의 강하중학교에서 발간한 시집 《나에겐 비도 맛있다》에 몇 편의 시가 실렸다. 아내와 아이들과 시고르자브종 리카와 벤, 동네 풍경, 하늘, 바람, 꽃 등이 피사체가 된다. 주변의 짠하고도 아심찬한 모습도 담는다. 집에 도서관N을 두었다. 정사서 1급 자격증이 있지만 도서관장은 아내다. N의 컨셉은 네이버와 한게임의 합병법인 NHN(Next Human Network)의 Next에서 따왔다. ‘도서관엔(N) 뭐가 있을까?’, ‘도서관엔(N) 길이 있지!’, ‘도서관 다음엔(N) 뭘 만들지?’ 따위의 장난스러운 도서관N으로 기억되길 바란다. 모든 이를 위해 더 큰 도서관N을 만들고자 한다. 2023년, AI를 포함해 디지털 관련 법제와 정책 연구를 위해 양평에 ‘디지털정책연구소’를 세웠다. 연락은 digitallaw@naver.com으로 해 주시길 바란다.
126쪽
9791143005625
12000원
왜 EU 「AI 법」과 사업자 의무인가?
01 입법 취지
02 규제 범위 및 대상
03 위험 기반 접근법
04 유형별 규제 모델
05 생성형 AI 규제: 투명성 의무(제50조)
06 데이터 거버넌스
07 혁신과 오픈 소스
08 기록 및 보관 의무
09 기본권 영향 평가 제도
10 시사점
최종우
@최종우
한양대학교 디자인대학 산업디자인학과 부교수이자 Future Form Design(FFD)랩 디렉터다.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과 영국 왕립예술대학에서 혁신 디자인공학을 공부했다. 영국 매클라렌(McLaren)과 로지텍(Logitech)에서 제품 디자이너로 활동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는 학계와 산업계를 넘나들며 다양한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또한 브랜드와 조직 자문, 국내외 디자인 협회와 공공위원회 활동, 국제 디자인 어워드 심사 등을 통해 디자인의 가치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103쪽
9791143012678
12000원
변화의 파도 위에 선 디자이너
01 협업 도구로서의 생성형 AI
02 디자인 프로세스의 재편
03 디자이너의 확장된 역할
04 협업 구조의 변화
05 프롬프트와 설계 사고
06 협업의 윤리와 책임
07 협업 효율성과 창의성의 균형
08 디자이너를 위한 AI 툴 이해
09 미래를 준비하는 디자이너
10 협업 시대를 준비하는 디자이너
한수경
@한수경
피스터치 대표다. 독일 마인츠 요하네스구텐베르크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 정치학, 법학 학사와 석사 과정을 마치고 동 대학에서 신문방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마이그린뉴스》(my- greennews.com) 전 발행인이며, 인천대학교 강사를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유럽에서의 저작권과 구글의 투쟁》(2016), 《미디어의 세계화 이론과 모순》(2015), 《Presse- journalismus in Korea》(2005), 《Globalisierung und Regionalisierung der Medien in Asien?》(2010) 등이 있다. 논문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노동의 종말과 대안”, “방송과 공정성: 방송의 지배구조와 방송의 공정성 훼손”(2015) 등이 있다.
153쪽
9791143009425
12000원
AI 시대의 인간 존재와 그 의미
01 1차 산업 혁명, 자본주의 탄생
02 2차 산업 혁명, 대량 생산 시대
03 3차 산업 혁명, 인터넷과 정보 혁명
04 4차 산업 혁명, 핵심 기술과 발전 속도
05 AI 시대 인간 노동의 소멸
06 AI 보완 존재로서의 인간
07 AI 시대, 거짓과 진실의 경계
08 AI 로봇의 인격화, AI 정치인의 출현
09 AI 기술 격차와 윤리적 책임
10 AI 시대, 산업 혁명의 종말
김태경
@김태경
제주대학교 윤리교육과 조교수다. 영국 요크대학교에서 심리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인문교육연구소에서 “지각 경험에 있어서 개념주의 논변”을 연구했다(2019∼2021).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부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인공지능으로부터 야기되는 윤리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가능한가?: 고인석 저, 《인공지능과 로봇의 윤리》에서 인공지능의 자율성과 책임귀속의 문제를 중심으로”(2023), “전통적 성윤리에 기반한 섹스로봇에 대한 도덕적 가치판단은 정당한가?”(2023), “리얼돌과 섹스로봇의 상징성 문제”(2020), “섹스로봇(Sex robot)의 상용화가 갖는 윤리적 문제와 윤리적 정당성 확보에 대하여”(2019),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의 안락사 문제: 뇌사자의 비자의적 장기기증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 검토”(2019) 등 10편 이상의 논문을 KCI 학술지에 게재했다.
153쪽
9791143010292
12000원
새로운 경계를 탐구하며
01 성 그리고 윤리
02 성윤리의 역사
03 다양한 유형의 섹스와 전통적 성윤리의 한계
04 섹스로봇의 등장과 전통적 성윤리
05 섹스로봇의 진화와 성윤리
06 인공지능 섹스로봇의 현실성과 형상
07 섹스로봇에 대한 성 규범의 상징성과 의미 부여의 주관성 문제
08 섹스로봇 논쟁 해석
09 섹스로봇에 대한 균형 잡힌 논의
10 AI와 성의 경계
최윤재
@최윤재
한림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고려대학교에서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재난담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재난은 어떻게 이야기되는가’, ‘기술은 어떻게 사회를 바꾸는가’라는 질문을 중심에 두고 정보 사회와 위험사회를 주요 연구 주제로 삼아 학문적 탐구와 강의를 이어 오고 있다. 관련 주제를 국내 주요 학회에 발표하며 연구의 외연을 확장해 왔으며, 현재 고려대학교와 한림대학교에서 ‘현대사회의 이해’, ‘한국사회의 구조와 변동’, ‘비교사회학’ 등을 강의하고 있다.
125쪽
9791143011664
12000원
확증편향 시대, 알고리즘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01 인간을 위해 설계된 AI, 인간을 왜곡하다
02 좋아요와 클릭 사이, 민주주의는 사라진다
03 AI는 어떻게 사회를 극단화하는가?
04 팩트는 사라지고, 믿음만 남는다
05 위험사회, 기술이 만든 불확실성
06 알고리즘은 새로운 재난이 될 수 있는가?
07 투명한 듯 불투명한 알고리즘의 권력
08 정치가 아니던 것이 정치가 되는 순간
09 재난 담론 30년, 정치화되는 한국 사회의 위험
10 민주주의를 위한 알고리즘은 가능한가?
김윤명
@김윤명
디지털정책연구소(DPI) 소장이다. 남도의 니르바나, 땅끝 해남에서 태어났다. 광주 인성고등학교와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에서 지식재산법을 전공해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세종사이버대학교에서 정보보호학을 공부하고 있다. 네이버에서 정책수석을,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에서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법제 연구를, 국회에서 보좌관을 맡아 입법과 정책을 다루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 캠프와 인수위인 새로운경기위원회 그리고 이재명 대통령후보(20대, 21대) 캠프에서 활동했다. 대통령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AI-IP 특위에서 AI 시대에 변화하는 지식재산의 지형을 함께 그렸다. 경희대학교 법무대학원에서 ‘인공지능법’을, 전남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 법과 윤리’를 강의하며 다음 세대를 준비하고 있다. 《블랙박스를 열기 위한 인공지능법》은 교육부 우수학술도서로, 《게임법》, 《게임서비스와 법》, 《인터넷서비스와 저작권법》은 문화체육관광부 세종도서(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시를 짓고 사진을 찍는다. 두 아이의 강하중학교에서 발간한 시집 《나에겐 비도 맛있다》에 몇 편의 시를 담았다. 아내와 아이들 그리고 시고르자브종 리카와 밴, 동네 골목, 바람과 하늘, 꽃과 나무 등 세상의 모든 숨결이 렌즈에 깃든다. 사람들의 짠하고도 아심찬한 풍경을 기록한다. 시집을 내고 사진 갤러리를 여는 것이 꿈이기도 하다. 집안에 ‘도서관N’을 세웠다. 정사서 1급 자격증을 가지고 있지만 도서관장은 아내다. ‘N’은 네이버와 한게임의 합병법인 NHN(Next Human Network)에서 따온 ‘Next’를 의미한다. “도서관엔(N) 뭐가 있을까? 도서관엔(N) 길이 있지! 도서관 다음엔(N) 뭘 만들지?” 이런 장난스런 물음 속에 세상을 향한 다음 걸음을 품는다. 언젠가 모두를 위한 더 큰 도서관N을 짓겠다는 꿈을 품고 있다. AI를 비롯한 디지털 법제와 정책을 연구하기 위해 양평에 ‘디지털정책연구소’를 세웠다. 인연은 digitallaw@naver.com을 통해 이어질 수 있다.
146쪽
9791143010704
12000원
로봇의 또 다른 모습, 피지컬 AI
01 피지컬 AI란 무엇인가?
02 자율주행차 사고의 법적 책임 귀속
03 돌봄 로봇, 의료 로봇 등 취약 계층 대상 AI의 법적 쟁점
04 배달 로봇, 드론의 공공장소 이용과 안전 규제
05 피지컬 AI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 범위
06 피지컬 AI의 법적 주체성: ‘전자 인격’ 도입 논의
07 피지컬 AI 관련 보험·배상 제도 설계
08 피지컬 AI의 안전성 인증 및 허가 제도
09 피지컬 AI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
10 피지컬 AI 규제 거버넌스
박진호
@박진호
문화유산 디지털 복원가로 활동 중이며, 한양대 문화인류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에서 미술사 석사를 마친 후 상명대학교에서 디지털 문화유산 분야로는 국내 최초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KAIST 문화기술대학원 선임연구원을 거쳐 고려대학교 연구교수를 지내며, 고려대 IPDS Lab에서 디지털 헤리티지 분야를 연구 중이다. 1999년 이후 디지털 헤리티지 관련 100여 차례 이상의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논문 50편 이상을 발표했다. 《황룡사, 세상의 중심을 꿈꾸다》(2006)를 비롯해 《이야기 한국사》(공저, 2002), 《이야기 중국사》(공저, 2002), 《신라인의 실크로드》(공저, 2002), 《고구려 벽화 연구의 현황과 콘텐츠 개발》(공저, 2009), 《백제 문화콘텐츠의 이해》(공저, 2012), 《GAME 무한 진화를 꿈꾸다》(공저,2017), 《한글과 새 시대 새 기술》(공저, 2022), 《메타버스, 세계유산의 미래를 묻다》(공저, 2023), 《공공역사를 실천중입니다》(공저, 2023) 등 다수의 공동 저서를 출간했다. 헤리티지 AI 영화를 개척해 인공지능과 문화유산을 결합한 〈걸리버 율도국 여행기〉, 〈실크로드맨 마르코폴로〉, 〈아쇼카 로드〉, 〈란쌍왕국, 백만코끼리의 왕국〉 등의 AI 영화를 감독했다. 〈걸리버 율도국 여행기〉로 2025 경상북도 국제 AI·메타버스 영상제에서 대상을 받았다.
경주세계문화엑스포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국가유산청 자문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콘텐츠학회와 인공지능윤리협회에서 이사로도 활동 중이다.
175쪽
9791143012432
12000원
과거를 기억하는 패러다임, 디지털 헤리티지
01 디지털 헤리티지의 등장과 분류
02 디지털 복원, 과거를 잇는 기술의 상상력
03 3D 스캔 기반 디지털 트윈, 문화유산 보존의 새로운 가능성
04 가상현실,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디지털 타임머신
05 AI와 XR 콘텐츠, 유산은 보는 것이 아니라 느끼는 것
06 인공지능의 인간, AI 디지털 휴먼
07 AI와 미디어 아트, 무한 상상력에 인공지능 예술을 더하다
08 AI와 홀로그램, 궁극의 디지털 헤리티지 구현 기술
09 AI와 모빌리티, 이동형 헤리티지의 등장
10 디지털 헤리티지와 로봇, 문화유산과 피지컬 AI의 만남
이장원
@이장원
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과 및 실감미디어공학과 부교수다. 인디애나대학교(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에서 Informatics 전공, Intelligent and Interactive Systems Track 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센터에서 Software Engineer로 근무했으며, 미국 NASA JPL에서 연구 인턴, 미국 Alarm.com 산하 ObjectVideo Lab에서 Research Scientist로 재직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에서 인공지능 및 상호작용 연구실(Intelligent and Interactive Systems Lab, I2S Lab)을 이끌며 컴퓨터 비전, 로봇 비전,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CVPR, ECCV, ICRA, IROS, WACV, IJCAI, ICIP, UbiComp 등 주요 국제학회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2017년 CVPR 워크숍 ‘Deep Learning for Robotic Vision’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2025년 APIC-IST에서 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117쪽
9791143014009
12000원
인공지능의 그늘과 빛
01 인공지능의 그늘
02 인공지능의 빛
03 사회적 약자를 위한 인공지능
04 컴퓨터 비전의 기초와 발전
05 시각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비전
06 로봇 기술과 시각장애인 지원
07 스마트폰과 컴퓨터 비전
08 시각장애인을 위한 이상 탐지와 VQA
09 시각장애인과 함께, 현장의 목소리
10 사람을 향한 기술, 따뜻한 AI
이윰
@이윰
IUM SPACE 대표이자 아티스트 디렉터다. 작가명 ‘윰’은 무한한 상상 영토에서 두 팔을 벌리고 서 있는 아티스트 자신의 자화상을 담고 있다. 홍익대학교 조소과와 동 대학원 조각과를 졸업한 후 1995년 현대미술가로 등단했다. 30년간 예술적 세계관이 담긴 아트 스토리텔링을 베이스로 영상, 사진, 설치, 퍼포먼스 등 국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해 왔다. 국립현대미술관과 후쿠오카아시아미술관, 코리아나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또한 다양한 생성형 AI와 매체를 활용해 세계관 베이스의 예술을 하는 창계의 예술가(World Creating Artist)로서 활동하고 있다. 〈해세가도(垓世歌圖)〉, 〈조선의 앨리스〉 등 한국의 헤리티지와 이야기를 세계에 알리는 한국적 AI 아트 프로젝트와 글로벌 멀티 플랫폼 콘텐츠 개발을 하고 있으며 다수의 수상을 하기도 했다. 작가 자신의 고유 예술론을 바탕으로 AI 아트 인문학과 창작에 중점을 둔 〈IUM AI ART〉 온라인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 출강하고 있다. 2025년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직속 미술 분야 정책자문위원회, 국가유산청 정책자문위원회, 지식재산처 AI지식재산정책 전문가협의체에 디자인 분과 민간위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예술가의 사회적 행동의 일환으로서 AI 아트 분야의 발전을 위해 힘쓰고 있다.
183쪽
9791143002839
12000원
창계의 예술로서의 AI 아트
01 호모 제네시스와 7 AI Creativity
02 상상 여행을 위한 세 가지 아이템
03 이윰의 AI 아트 세계관: 〈에덴의 서쪽〉
04 첫 번째 창의성: 상상력
05 두 번째 창의성: 영감
06 세 번째 창의성: 지능
07 네 번째 창의성: 직관
08 다섯 번째 창의성: 상호작용
09 여섯 번째 창의성: 해석
10 일곱 번째 창의성: 통합
오혜령
@오혜령
서울예술대학교와 상명대학교에서 영화를 공부했다. 서강대학교에서 영상 예술학 석사, 세종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 동국대학교에서 영화영상제작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예술대학교, 계원예술대학교, 대진대학교에 출강 중이며, 중등정교사 자격과 직업훈련개발 교사 자격으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연극영화 교육과 영상 제작 수업을 담당하고 있다.
119쪽
9791143002396
12000원
AI와 협업하는 저예산 독립영화
01 저예산 독립영화
02 영화 제작 의미
03 기획 및 초고
04 시나리오 모니터
05 영화 언어
06 스토리보드
07 촬영·조명
08 편집·사운드
09 영화 완성
10 영화로 만나는 사람
김상훈
@김상훈
오산대학교 건강재활과 교수다. 용인대학교 특수체육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체육대학교에서 스포츠의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한장애인체육회 경기력향상분과 위원장, 대한선수트레이너협회 사무총장, 대한특수체육학회 부회장, 대한육상연맹 의무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전에는 대한스포츠의학회 스포츠과학위원장, 한국체육학회 이사, 대한장애인체육회 스포츠의과학팀장으로 활동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경기력 향상, 선수 트레이닝, 스포츠 재활이며 인공지능을 접목한 스포츠 과학 연구에 관심을 두고 있다. 최근 〈ChatGPT는 건강운동관리사 이론시험에 합격할 수 있을까?〉(2025) 등 스포츠 의과학과 관련한 다수의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했으며, 저서로 《스포츠의과학 전공용어》(2023), 여러 편의 《스포츠의학》 교과서를 집필하고 번역했으며 근거기반 스포츠의과학 매거진 《계간 선수》를 창간하여 스포츠 현장에서 필드와 학문의 간극을 매우고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135쪽
9791143014245
12000원
인공지능 DNA를 이식한 선수
01 AI 스포츠 혁신의 서막
02 AI가 만드는 새로운 훈련법
03 동작 인식과 기술 분석
04 부상 관리의 진화
05 AI 설계 회복 프로그램
06 AI가 바꾸는 영양 전략
07 멘탈 트레이닝과 AI
08 AI가 찾는 미래의 별
09 AI 피트니스
10 AI가 함께하는 스포츠의 미래
조이환
@조이환
국가AI연구거점 연구원으로 국제 협력 및 공동 연구 기획을 담당하고 있다. 이전에는 지디넷코리아 기자로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거버넌스 관련 기사를 기고했으며 AI 아시아태평양기구(AI Asia Pacific Institute)에서 아태 지역 AI 거버넌스 협력을 연구했다. 현재 국제인공지능윤리협회(IAAE) 자문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런던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국제관계학 석사, 성균관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학사를 마쳤다.
110쪽
9791143014962
12000원
기술 신화와 종말의 서사
01 특이점 주의와 초월 신화
02 AGI 메시아들
03 초지능의 통제 불가능성
04 반기술주의와 기술 탈주론
05 우파 가속주의와 비인간 정치 철학
06 자본의 지배와 가속의 실현자들
07 좌파 가속주의와 유토피아 재장전
08 AI 리얼리즘과 상상력의 한계
09 비서구 기술 철학과 인식의 전환
10 AI 이후 존재성
김경미
@김경미
교육학 박사로 부산대학교 연구교수이며 부산대학교 무용학과·교육학과 강사, 미적발달교육연구소 대표다.
부산대학교 예술대학 무용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논문 “문화예술교육적 맥락에서의 무용교육을 통한 미적 발달 연구”를 통해 무용교육의 철학적 토대와 실천 체계를 정립했다. 현재 부산대학교 무용학과·교육학과·문화예술교육원, 부산교육대학교에서 무용교육, 문화예술교육, 융합예술교육을 강의하고 있으며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교수로 활동하며 무용교육 및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다수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문화교육학회와 한국체육무용과학회 이사로 학술 교류에도 참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AI와 무용교육의 융합 가능성에 주목하여 관련 연구와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예술·교육·기술의 만남을 통해 인간중심 예술교육의 미래를 모색하고 있다.
137쪽
9791143014511
12000원
AI와 무용 교육의 변화
01 AI 기반 무용 교육을 위한 무용 데이터세트
02 AI와의 협업을 위한 AI 리터러시
03 AI 기반 무용 교육과정의 변화
04 AI 기반 무용 수업 설계
05 AI 활용 무용 교수 학습 방법
06 AI 기반 맞춤형 학습과 피드백
07 AI 기반 무용 동작의 평가
08 감각 기반 무용 교육과 AI 기술의 경계
09 무용 교육에서 AI 윤리 문제
10 무용 교육을 위한 AI 활용 전략
공훈의
@공훈의
국제정치학을 전공한 뉴미디어 및 AI 전문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했다. 《광주일보》에서 기자, 정치부 차장, 국제부 부장을 거쳐 5대 지방신문 공동파견 워싱턴특파원을 지냈다. 이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의 School of Information에서 정보 관리 시스템학 석사를 취득했다.
2000년에 《머니투데이》 초창기 정보기획이사(CIO)로 온라인 서비스를 총괄하면서, 실시간 뉴스 기반으로 수익모델을 만들어 냈다. 이후 창업 투자사인 ‘넥서스투자 주식회사’의 대표이사/사장으로 일했다. 2010년에는 SNS 기반 뉴스 서비스 《위키트리》를 개발해 국내 SNS 상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미디어로 키운 뒤 2019년에 매각했다.
2021년에 ‘고도화 사회 이니셔티브’를 설립해서 다양한 AI 에이전트 앱을 개발하고 인공지능의 생활화를 위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KDT 과정과 AI CEO 과정을 비롯해 다수의 기업, 학교, 단체 초청 생성형 AI 강연 및 부트캠프를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 《AI와 뉴스》(2024), 《미디어 혁신과 뉴스 스토리텔링》(2019), 《Ground Up Your Media》(2019), 《SNS는 스토리를 좋아해》(2014), 《소셜로 정치하라》(2012), 《뉴미디어 시대, 보고 듣고 뉴스하라》(2010), 《디지털 뉴스 핸드북》(2001) 등이 있다.
136쪽
9791143014993
12000원
무너진 장벽들
01 누구나 할 수 있는 ‘바이브 코딩’
02 진정한 전문가 시대의 개막
03 프롬프트를 넘어 컨텍스트로
04 모달리티를 이해하라
05 워크플로 정의가 진짜 실력
06 시작부터 세계로 ‘Born-Global’
07 혼자서 완성하는 ‘풀 스택 최적화’
08 도구가 아닌 협업의 대상
09 AI 에이전트 앱 개발 원칙 ‘Four Gets’
10 ‘지평의 융합’은 가능할까?
박제윤
@박제윤
인하대학교 공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철학 석사와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하대, 단국대 등에서 강의했고, 인천국립대학에서 초빙교수로 근무하고 퇴직했다. 주요 연구는 처칠랜드 부부의 신경철학이다. 그들 부부의 여러 책을 번역했다. 주요 번역서로 ≪뇌과학과 철학: 마음-뇌 통합과학을 향하여≫, ≪뇌처럼 현명하게: 신경철학 연구≫, ≪뇌, 이성의 엔진 영혼의 자리: 뇌 안으로의 철학 여행≫, ≪뇌 중심 인식론, 플라톤의 카메라: 물리적 뇌가 어떻게 추상적 보편자의 풍경을 담아낼까?≫, 주요 저서로 ≪철학하는 과학, 과학하는 철학(전4권)≫ 등이 있다.
133쪽
9791143014481
12000원
과학 연구와 철학, AI 연구와 철학
01 AI의 아버지
02 언어 계산 논리
03 뇌의 계산 처리
04 병렬 처리와 학습
05 뇌의 지식
06 표상과 환원
07 뇌와 AI의 창의성
08 뇌와 AI의 의식
09 뇌와 AI의 언어
10 차세대 AI
박재완
@박재완
숭실대학교 IT대학 글로벌미디어학부 교수다. Harvard University에서 Design & Technology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제일기획과 KT에서 실무 경력을 쌓았다. 또한 스위스 연방 로잔공과대학교(EPFL)에서 연구 활동을 수행한 경험이 있다. 국내외 저널에 50여 편의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특허와 디자인을 포함한 20여 건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다.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서울시 산학연 우수과제 선정(중소기업청장 표창), Digital Design Prize(Harvard University) 등 다수의 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숭실대학교에서 AI Design Lab을 운영하며, 디자인과 IT 기술의 융합을 주제로 학제 간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인공지능(AI), 사용자 경험 및 인터페이스(UX/UI), 디지털 포렌식(Digital Forensics), 로보틱스(Robotics) 등이다.
162쪽
9791143014931
12000원
AI 시대, 진실의 소리를 듣다
01 오디오 파일의 위변조 가능성
02 디지털 오디오 포맷, 파일 구조, 메타데이터의 이해
03 디지털 오디오 위변조 탐지를 위한 전통 기술
04 디지털 오디오 위변조 유형과 검출 절차
05 AI 기반 오디오 위변조 탐지 기술
06 오디오 포렌식을 위한 데이터세트 구축과 처리
07 오디오 포렌식을 위한 AI 모델
08 법정 증거로서의 오디오 파일과 AI의 역할
09 AI 오디오 포렌식 기술의 한계와 윤리적 이슈
10 AI 오디오 포렌식의 미래
박태성
@박태성
서울대학교 계산통계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친 뒤,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생물통계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생물통계학과 생물정보학 분야에서 5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동시에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에서 사진디자인 석사 과정을 밟으며, 학문과 예술의 접점을 탐구하고 있다. 10여 년간 기록한 레이니어 산의 풍경을 담은 개인전
(2022)를 비롯해, <레바논의 눈망울>(2023), <베카벨리의 아이들>(2024), <제주도>(2024) 등을 발표하였다. 사진집으로는 《레바논으로 간 아이들》(2024, 눈빛)이 있으며, ‘서번트 시리즈’로 《방글라데시의 친구 조상희》(2025, 눈빛), 《방글라데시의 빛과 소금 박필우》(2025, 눈빛), 《방글라데시의 본두 김방글》(2025, 눈빛)을 출간하였다. 최근에는 데이터와 AI 알고리즘이 어떻게 새로운 시각 언어를 모색하며, AI와 사진 예술의 융합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116쪽
9791143014542
12000원
AI 시대의 예술과 인간의 역할 변화
01 사진 예술의 새로운 물결
02 카메라 뒤의 보이지 않는 두뇌, AI
03 빛과 화질의 재해석
04 통계학과 사진의 연결 고리
05 AI 이미지 제작 도구와 환경
06 사진가의 시선, AI의 시선
07 창작 과정의 변화, 인간과 기계의 협업
08 AI 생성 예술의 법적·윤리적 지형
09 AI 에이전트와 예술 시장의 미래
10 미래의 프레임
윤혜진
@윤혜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뇌AI기반교육연구소 학술연구교수다. 제주대학교에서 컴퓨터교육전공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이해 중심 평가”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교육부 주관의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사업의 “중학교 정보 과목의 AI 디지털교과서를 위한 평가 체계의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과제를 책임연구원으로서 진행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에서 교육대학원(AI융합교육전공)과 학부(컴퓨터교육과)의 현직 및 예비 교원들에게 AI프로그래밍, AI융합교육프로젝트,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 등 AI·SW 교육 방안에 관한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관심 연구 분야는 AI 디지털교과서 및 코스웨어, AI 융합 교육 및 프로그래밍 교육, 교육 과정, 교수·학습 및 평가 등이다. “예비 교사의 인공지능(AI) 융합교육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젝트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2025), “Organizing structure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 computing education (CE): Delphi method with in‑depth interviews”(2025) 등의 컴퓨터교육 관련 논문을 KCI 등재지와 국제저명학술지(SCOPUS)에 다수 게재했다.
133쪽
9791143006400
12000원
AI로 인해 강조되는 창의성과 창의 교육
01 창의성에 대하여
02 AI 시대, 창의성과 창의 교육
03 창의성을 기르는 AI 융합 교육: 과학, 수학, 정보 교과
04 창의성을 기르는 AI 융합 교육: 국어, 영어 등 언어 교과
05 창의성을 기르는 AI 융합 교육: 예체능 교과
06 AI를 활용한 창의적 산출물 생성 교육: SW 교육
07 AI를 활용한 창의적 산출물 생성 교육: 언어 교육
08 AI를 활용한 창의적 산출물 생성 교육: 예술 교육
09 AI 활용 교육의 주요 쟁점
10 AI 시대 창의 교육에서의 평가성
최우성
@최우성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의 책임연구원이자 연구전략실 R&D 비즈팀장이다. 서울대 기계공학과에서 시스템 고장예지(Prognostics and Health Management, PHM)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Fraunhofer, SIEMENS, 미국 전력연구소(EPRI) 등과 12건의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했으며 EPRI에서 2년간 파견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엔비디아(Nvidia) 앰배서더 및 AI 인증 강사, 인공지능 커뮤니티·사단법인 AI프렌즈의 창립 이사로 활동 중이며, 국내 기술표준의 국제화를 위해 미국 기계학회(ASME)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전문 분야는 시스템 고장 예지, 머신러닝·딥러닝으로 AI 솔루션 5종 개발, 프로그램 16건, 특허 37건, SCI급 논문 13편 등의 연구 실적이 있다. 세상에 기여하는 공학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는 공학자이지만 기술보다는 사람을 먼저 생각한다.
131쪽
9791143014900
12000원
AI 시대의 프로네시스(AI Phronesis)
01 AI 과의존과 중독
02 AI와 건전한 거리두기
03 이제는 필수, AI 리터러시
04 AI 환각
05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06 인간 고유의 영역, 창의성
07 AI 윤리
08 AI 프라이버시
09 포용적 AI 기술
10 AI와 함께 미래 사회 준비하기
장민승
@장민승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과 박사과정생이다. 서울예술대학교를 졸업한 뒤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에서 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경제TV와 채널A에서 조연출로 재직했으며, 현재 한국전파진흥협회에서 AI와 가상 융합 세계 관련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120쪽
9791143012708
12000원
AI, 가상 융합 서비스의 새로운 시작
01 AI 시대의 가상 융합 서비스
02 AI와 가상 융합 서비스의 발전
03 멀티모달 모델과 LLM
04 피지컬 AI
05 지능형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06 생성형 AI와 콘텐츠 창작 자동화
07 사용자에 따른 서비스의 변화와 진화
08 책임 있는 서비스 운영을 위한 원칙
09 배리어 프리 친화적 서비스
10 가상 융합 서비스 진흥 정책 방향
유정수
@유정수
전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다. 충남대학교에서 계산학(인공지능)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주교육대학교에 1992년부터 재직하고 있으며, 전산소 소장, 학생처장 및, 교육대학원 원장을 역임했다. 한국정보교육학회 회장, 한국정보처리학회 상임부회장, 한국과학창의재단 미래혁신인재단 단장(전문위원), 교육부 AI교육정책지원단 단장,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도개선 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한국정보통신학회 수석이사와 인공지능산업법학회 고문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 《소프트웨어 교육론》(2018), 《학교 공간, 이렇게 바꿨어요! 미래 학교 만들기 프로젝트》(2021),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융합성장 전략》(2022), 《생성형 AI 프롬프트 디자인》(2023) 등이 있다.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Digital Textbook Pricing in Korea ”(2019), “에드위드(edwith)의 적응형 이러닝 교육 플랫폼으로 진화 가능성 탐색 연구”(2023) 등 많은 논문을 KCI 등재학술지 및 SCOPUS 학술지에 게재했다.
125쪽
9791143012340
12000원
AI에 의한 교육의 진화
01 교육 4.0의 모습
02 디지털 플랫폼 기반 교육
03 AI와 함께, AI를 알아 가기
04 생각하는 방식의 전환
05 학생들을 위한 개인화 학습 이해
06 AI와 인간 교사의 가르침 결합
07 AI는 교육 과정의 일부
08 교육에서 디지털 생태계 활성화
09 교육을 위한 AI 거버넌스
10 미래 지향적 교육 정책 방향
박한하
@박한하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강사다. 같은 대학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주요 연구 주제는 인공지능 글쓰기와 버추얼 캐릭터다. NC소프트와 HB엔터테인먼트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으며 가톨릭대학교, 국립한경대학교, 단국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청강문화산업대학교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 관련 교과목을 가르쳤다. 주요 논문으로는 “생성형 인공지능의 프롬프트 글쓰기 분석”(2024), “한국 버추얼 아이돌의 가상성 연구: 플레이브를 중심으로”(2024), “인공지능 글쓰기 기계의 텍스트 생성 연구: Shortly AI를 중심으로”(2023) 등이 있다.
118쪽
9791143014726
12000원
AI 캐릭터의 등장
01 AI 캐릭터의 정의
02 AI 캐릭터와 사용자 참여
03 AI 캐릭터의 멀티모달리티
04 AI 캐릭터 유형화의 기준
05 말뭉치 반복을 통한 캐릭터 인용
06 매체 전환을 통한 캐릭터 확장
07 파라텍스트를 통한 캐릭터 입체화
08 커스터마이징을 통한 캐릭터 실재화
09 AI 캐릭터와 윤리
10 AI 캐릭터의 미래
천현순
@천현순
경상국립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부교수다. 독일 쾰른대학교 독어독문학과에서 알렉산더 클루게(Alexander Kluge)의 문학작품에 나타난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호매체성이라는 주제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에서 HK연구교수로 활동했다. 현재 한국브레히트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매체, 지각을 흔들다》(2012),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공저, 2013), 《기억, 서사, 정체성》(공저, 2018)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인간, 인공지능 그리고 사랑-SF 영화에 재현된 인간과 인공지능의 관계를 중심으로”(2022), “마인드 업로딩과 디지털 영생의 문제-카를 올스베르크의 SF 소설 《막다른 골목에 선 소년》을 중심으로”(2024), “호모 데우스와 포스트휴먼 상상력-사이언스 픽션 문학 속 키메라와 사이보그”(2019) 등이 있다.
134쪽
9791143014306
12000원
인공지능(AI)으로 변해 가는 사랑의 지형도
01 인간과 인공지능의 반려 문화
02 사랑 담론과 사랑의 파트너로서 인공지능
03 인간의 감정과 인공지능의 감정
04 반려종 관계와 소중한 타자성
05 인간의 배타적 사랑과 인공지능의 초월적 사랑
06 결핍형 인간과 완벽형 인공지능의 동거
07 인간과 인공지능의 사랑 그리고 결혼
08 사랑 또는 섹스 파트너로서 인공지능 로봇
09 인공지능과 사랑에 빠진 사람들
10 인간과 인공지능의 공생 가능성
이강원, 윤성련, 김현주
@이강원
장로회신학대학교 및 숭실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하이델베르크대학에서 판넨베르크 종말론으로 조직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과학과 신학의 대화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다.
134쪽
9791143013897
12000원
가상현실과 다가온 미래
01 가상현실의 실재성
02 가상 월튼 허구주의: 물질-담론적 인과성
03 행위자 실재론의 실재
04 가상현실의 윤리적 함의
05 가상의 어원과 뜻
06 가상 세계의 공간과 몸
07 상호 육화와 가상의 몸
08 〈얼터드 카본〉과 가상 미래
09 정신의 업로드와 영생 프로젝트
10 오래된, 그러나 아직도 유효한 논쟁: 인간은 무엇인가?
이기호
@이기호
백석예술대학교 영상학부 교수다. 미국 뉴욕 롱아일랜드대학교에서 미디어아트 석사 학위와 홍익대학교에서 미술학(영상)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백석예대에서 매년 200여 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의 활용’ 정규 교과목 강의를 담당하였고(2016~2022), ‘메타버스 교육연구’, ‘AI와 콘텐츠제작’ 등의 강의를 하고 있다. 국가경영전략연구원에서 1500여 편의 이러닝 기획 및 제작 연출과 백석예술대학교 교수학습개발원 부원장을 역임하면서 교내 이러닝 시스템을 구축하고 교육 혁신 방안을 연구했다. AR/VR, 영상미디어 관련 연구와 AI 저작권 및 예술 창작, AI 활용 교수학습방법, AI 영상제작 사례연구 등에 관한 연구논문이 있다. 저서로는 《예측형 AI와 대학 입시》, 《미디어콘텐츠 AI 프롬프트 디자인》이 있으며, 현재 생성형AI연구원의 미디어콘텐츠분야 운영위원장, 백석예술대학교 영상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융합영상예술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148쪽
9791143014665
12000원
AI, 부모의 새로운 파트너
01 부모가 바뀌어야 자녀가 성공한다
02 내 아이를 위한 AI 학습
03 유치원생·초등학생을 위한 AI 활용
04 중학생을 위한 AI 학습 전략
05 고등학생 내신 대비 AI 활용
06 수능 준비를 위한 AI 학습 전략
07 효율적인 시간 관리와 학습 계획 수립
08 가족은 못 하는 AI만의 역할
09 학부모의 AI 활용 능력 키우기
10 자녀를 위한 AI 활용 가이드
김준혁
@김준혁
현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교육학교실 조교수로 일한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병원 소아치과 수련을 받았다.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료윤리 석사를, 부산대학교에서 의료인문학 박사를 취득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에서 펠로우로 일했다. 한국의철학회 편집이사,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학술이사, 한국의료윤리학회 이사 및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돌봄의 역설》(2024), 《모두를 위한 의료윤리》(2021), 역서로 《의존을 배우다》(2023), 《의철학 입문》(2023) 등이 있다. 주로 의료윤리 및 의철학 분야의 논문을 저술하였고, 국내외 등재지에 4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129쪽
9791143014696
12000원
AI 돌봄 윤리가 필요한 이유
01 돌봄 위기와 AI
02 돌봄 윤리: 관계성
03 돌봄 윤리: 조율
04 돌봄 윤리: 상호 주관성
05 돌봄 윤리: 역능 강화
06 돌봄 윤리: 순환성
07 돌봄 윤리: 유동성
08 AI 돌봄 윤리의 제안
09 ACA의 구상
10 ACA: 클라라와 태양
박우석
@박우석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 인문사회과학부 명예교수다.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뉴욕주립대학교(버펄로)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난 사반세기 동안 한국과학기술원에서 교수 생활을 했다. 한국논리학회 회장, 한국분석철학회 회장, 한국바둑학회 회장을 지냈다. 스프링어(Springer)출판사의 총서 SAPERE(Studies in Applied Philosophy, Epistemology and Rational Ethics)의 자문위원이고, 국제학술지 《Al-Mukhatabat: A Trilingual Journal for Logic, Epistemology and Analytical Philosophy》의 편집위원이다. 최근 저서로 《Philosophy’s Loss of Logic to Mathematics》(2018), 《Abduction in Context》(2016), 《알프레트 타르스키》(2024), 《논리학과 인공지능 바둑》(2025)이 있고, 국내외 유수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최근 번역한 책으로는 《토론에서의 의무》(2025), 《아리스토텔레스의 초기 논리학》(2023), 《아리스토텔레스주의
119쪽
9791143012081
12000원
휴머노이드 로봇, 세 AI, 그리고 인간
01 로봇 만들기
02 표상과 오표상
03 동물의 인지
04 사고 언어
05 짐승-기계 논쟁
06 지식 표상의 형식 존재론
07 자연종과 로봇종
08 뉴런의 발견에서 신경 표상까지
09 AI 로봇 공학 현황
10 휴머노이드 AI 로봇의 이중성
김윤명
@김윤명
디지털정책연구소(DPI) 소장이다. 남도의 니르바나, 땅끝 해남에서 태어났다. 광주 인성고등학교와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에서 지식재산법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세종사이버대학교에서 정보보호학을 공부하고 있다. 네이버 정책수석,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에서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법제 연구를 맡았으며, 국회에서는 보좌관으로 입법과 정책을 다루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 캠프와 인수위인 새로운경기위원회에서, 그리고 이재명 대통령후보(20대, 21대) 캠프에서 활동했다. 대통령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AI-IP 특위에서 AI 시대에 변화하는 지식재산의 지형을 함께 그렸다. 경희대학교 법무대학원에서 ‘인공지능법’을, 전남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 법과 윤리’를 강의하며 다음 세대를 준비하고 있다.
사유하고 질문하고 기록하는 일은 일상이다. 블랙박스를 열기 위한 인공지능법은 교육부 우수학술도서로, 게임법, 게임서비스와 법, 인터넷서비스와 저작권법은 문화체육관광부 세종도서(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시를 짓고 사진을 찍는다. 두 아이들의 강하중학교에서 발간한 시집 나에겐 비도 맛있다에 몇 편의 시를 담았다. 아내와 아이들, 그리고 시고르자브종 리카와 밴, 동네 골목, 바람과 하늘, 꽃과 나무 등 세상의 모든 숨결이 그의 렌즈에 깃든다. 사람들의 짠하고도 아심찬한 풍경을 기록한다. 시집을 내고, 사진 겔러리를 여는 것이 꿈이기도 하다.
집안에 ‘도서관N’을 세웠다. 정사서 1급 자격증을 가지고 있지만, 도서관장은 아내다. ‘N’은 네이버와 한게임의 합병법인 NHN(Next Human Network)에서 따온 ‘Next’를 의미한다. “도서관엔(N) 뭐가 있을까? 도서관엔(N) 길이 있지! 도서관 다음엔(N) 뭘 만들지?” 이런 장난스런 물음 속에 세상을 향한 다음 걸음을 품는다. 언젠가 모두를 위한 더 큰 도서관N을 짓겠다는 꿈을 품고 있다.
그는 다시 길을 내려 하고 있다.
AI를 비롯한 디지털 법제와 정책을 연구하기 위해 양평에 ‘디지털정책연구소(Digital Policy Institute)’를 세웠다. 그와의 인연은 digitallaw@naver.com을 통해 이어질 것이다.
148쪽
9791143006165
12000원
블랙박스 안의 권력에 대한 논의
01 알고리즘 편향의 구조적 원인
02 블랙박스 문제와 설명 가능성의 한계
03 알고리즘의 사회적 결정권 탈취
04 추천 알고리즘의 확증 편향 강화
05 알고리즘은 감시를 일상화한다
06 알고리즘 차별의 현실
07 알고리즘 책임의 사각지대
08 AI 윤리와 투명성의 제도화 과제
09 정치적 조작과 알고리즘 권력
10 공공 알고리즘과 민주적 통제의 필요성
윤명훈
HRD 박사. 원티드랩 사업총괄.
151쪽
9791143011787
12000원
새로운 감각의 시작, 직원 경험과 AI
01 첫 만남, 채용과 온보딩
02 일의 흐름, 지원과 성장
03 함께 일함, 리더십과 관계
04 공정한 인정, 성과와 보상
05 기여하고 싶은 마음, 참여와 몰입
06 돌봄의 기술, 건강과 복지
07 흔들림의 신호, 이탈과 리텐션
08 좋은 이별, 오프보딩의 설계
09 신뢰의 조건, AI 윤리와 수용
10 미래의 조직, 경험의 미래
방준성
공학 박사. ㈜와이매틱스의 CEO/대표이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145쪽
9791143000279
12000원
인공지능의 윤리 원칙과 안전 기준
01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질문
02 편향성과 공정성
03 투명성과 설명 가능성
04 초개인화의 편의성과 리스크
05 인간과 인공지능의 공존
06 의사결정과 책임
07 사회적 가치와 다양성
08 기술 혁신과 법적 규제
09 인공지능 윤리 교육
10 윤리적 인공지능의 실현
김권일
법학 박사.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121쪽
9791143008640
12000원
AI 시대, 국방행정법
01 AI와 군인
02 AI와 명령
03 군견과 AI 견마 로봇
04 AI와 군사훈련
05 AI와 경계 시설
06 AI와 국방 연구 개발
07 AI와 사이버 안보
08 AI와 전시 민간 협력
09 AI와 군사 의료
10 AI 시대의 국방행정법 과제와 전망
남길임, 송현주
(남길임) 국어국문학 박사. 연세대학교 교수.
(송현주) 국어교육학 박사. 경북대학교 교수.
117쪽
9791143012944
12000원
인공지능 시대의 언어
01 인공지능 시대에 언어 윤리성은 왜 중요한가?
02 비윤리적 표현이란 무엇인가?
03 비윤리적 표현의 유형
04 비윤리적 표현과 독자 인공지능
05 비윤리적 표현의 맥락 의존성과 주관성
06 비윤리적 표현의 단위와 식별의 쟁점
07 메신저의 비윤리적 표현
08 방송의 비윤리적 표현
09 비윤리적 표현과 사전
10 비윤리적 표현을 어떻게 교육할까?
황순희
언어과학 박사. 홍익대학교 교수.
152쪽
9791143014214
12000원
AI와 자연어의 경계: 변주의 언어, 패턴의 기계
01 맥락 이해와 AI
02 언어 사용역과 AI
03 신조어와 AI
04 코드 스위칭과 AI
05 말실수와 AI
06 개인어와 AI
07 법 언어와 AI
08 자기조절 글쓰기와 AI
09 목적 지향 말하기와 AI
10 언어적 불평등과 AI
김창일
정책학 박사. 공공기관 인사팀.
107쪽
9791143014429
12000원
AI 시대 일자리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01 AI와 자동화: 인간 노동의 역할 변화
02 AI가 대체할 일자리와 창출할 일자리
03 AI와 직업 교육
04 기업의 AI 도입과 조직 변화
05 프리랜서와 원격 근무의 확산
06 AI 시대 기업의 인재 확보 전략
07 AI와 일자리 불평등 문제
08 AI 시대, 법과 윤리 문제
09 AI 시대의 노동 정책과 정부의 역할
10 AI와 협업하는 미래의 일자리
김정헌
관광학 박사. 화성시연구원 문화·관광 분야 연구위원.
128쪽
9791143014276
12000원
AI가 만든 헤테로토피아
01 스마트 관광 도시
02 디지털 관광지
03 AI 관광 교통
04 디지털 헤테로토피아
05 헤테로토피아적 축제
06 AI 추천 서비스
07 뉴로 관광
08 여행 챗봇
09 서비스 로봇
10 AI 여행 기록
조현석
정치학 박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명예교수.
129쪽
9791143014030
12000원
미국 AI 신흥 방위 산업의 발전과 특성
01 우크라이나 전쟁, 최초의 AI 전쟁
02 소설 《유령함대》 속의 미·중 세계 대전
03 드론과 자율무기 체계
04 드론과 자율무기 산업 생태계
05 전장 정보 분석 플랫폼과 전술 알고리즘
06 전장 정보 분석 플랫폼 산업 생태계
07 글로벌 지휘 통제시스템
08 글로벌 지휘 통제시스템 산업 생태계
09 미국 신흥 방위 산업의 발전
10 한국 신흥 방위 산업 생태계 분석
장거리 드론과 미사일을 동원한 러시아 군의 공세가 점점 거세지면서 우크라이나 군은 2025년 6월 초 더 과감한 작전을 감행했다. 2차 종전 협상을 앞두고 실행된 이 ‘거미집(Spider Web)’ 작전을 통해 우크라이나 군은 일인칭 시점(FPV) 드론 100여 대로 러시아 본토 깊숙이 위치한 러시아 공군 기지 네 곳을 타격했다.
-01_“우크라이나 전쟁, 최초의 AI 전쟁” 중에서
강규연
패션디자인 박사 과정. 이화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연구소 연구원.
139쪽
9791143013422
12000원
패션 디자이너를 위한 AI 에이전트
01 생성형 AI와 패션 디자인
02 패션 데이터의 구축
03 LLM 기반의 패션 기획
04 RAG와 데이터베이스
05 이미지 생성 모델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06 LoRA를 통한 브랜드 스타일 학습
07 ComfyUI를 활용한 고급 시각화
08 기획과 시각화의 워크플로 자동화
09 디자이너를 위한 맞춤형 앱 배포
10 AI 에이전트의 지속적인 운영과 관리
권호창
지식서비스공학 박사. 성균관대학교 연구교수.
138쪽
9791143013927
12000원
인간과 AI는 내러티브를 어떻게 이해하고 창작하는가
01 내러티브 커뮤니케이션 모델
02 내러티브 이해의 의미
03 인간과 AI의 내러티브 이해 비교 분석
04 AI 내러티브 이해의 기술적 메커니즘
05 내러티브 창작의 의미
06 인간과 AI의 내러티브 창작 비교 분석
07 AI 내러티브 생성의 기술적 메커니즘
08 내러티브 이해와 창작 간 순환과 단절
09 인간-AI 내러티브 협업 설계
10 AI 시대 내러티브의 미래
김시열
법학 박사. 전주대학교 로컬벤처학부 학부장. (사)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회장, (사)한국저작권법학회 이사,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 전문자문단, (주)전주대학교 기술지주회사 이사.
135쪽
9791143011909
12000원
데이터, 누구의 것인가
01 인공지능 데이터의 특성
02 데이터의 개념
03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활용 유형
04 데이터 소유권 논의의 여러 관점
05 저작권법에서의 데이터 귀속
06 부정경쟁행위 규제를 통한 데이터 보호
07 영업비밀 보호를 통한 데이터 보호
08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의 보호
09 데이터 거래 계약에서의 문제
10 데이터 소유 문제의 실무적 접근 방안
김정아, 김희진
(김정아) 가톨릭관동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컴퓨터공학 박사.
(김희진) 가톨릭관동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컴퓨터교육학 박사.
110쪽
9791143011633
12000원
디지털 시민성, 새로운 도전과 책임
01 시민과 디지털 시민성
02 디지털권
03 디지털 격차와 접근성
04 디지털 문해력
05 디지털 권리와 책임
06 디지털 보안과 활용
07 AI가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08 디지털 시민성을 위한 초중등 교육
09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위한 지향점
10 디지털 시민의 행동 가이드
이동윤
디지털휴먼 스타트업 ㈜트위닛 대표이사. 메타버스얼라이언스 미래전략분과위원, 가상융합경제활성화포럼 상생분과위원으
102쪽
9791143006714
12000원
사고 싶은 얼굴을 설계하는 시대
01 AI와 뷰티테크
02 스마트 생산 기술과 뷰티 제조 혁신
03 뷰티 리테일과 AI
04 AI 마케팅, 초개인화 뷰티 경험의 완성
05 뷰티 필터, AI로 설계하는 진짜 내 모습
06 인플루언서, 뷰티 산업의 새로운 엔진
07 가상의 미녀, AI 컴패니언
08 메디컬 에스테틱과 AI
09 뷰티 살롱과 만난 AI와 로보틱스
10 홈케어 디바이스와 AI
김윤명
법학 박사. 디지털정책연구소(DPI) 소장. 이재명 대통령후보(20대, 21대) 캠프 활동. 전 네이버 정책수석.
155쪽
9791143005298
12000원
왜, AI 알고리즘과 규제인가?
01 알고리즘
02 블랙박스
03 편향과 차별
04 알고리즘의 권력화
05 알고리즘 규제
06 알고리즘 투명성과 설명요구권
07 알고리즘 공개
08 알고리즘의 영업비밀 이슈
09 알고리즘 영향 평가
10 시사점
이정헌
경희대학교 교수. 2017년부터 4년간 중소벤처기업부 성능검증연구협의회 사무국장을 지냈다. 중소벤처혁신기업협회 협회장과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신지식 재산 분과에서 전문위원으로 활동했다.
176쪽
9791143009708
12000원
AI 모델 성능 평가의 중요성
01 AI 모델 성능 평가 기초
02 분류 모델의 성능 평가
03 회귀 및 순위 모델 성능 평가
04 이미지 인식 및 분할 모델 성능 평가
05 의료 분야 AI 모델 성능 평가
06 제조 분야 AI 모델 성능 평가
07 금융 분야 AI 모델 성능 평가
08 패션 및 리테일 분야 AI 모델 성능 평가
09 산업별 테스트 세트와 벤치마크 구축
10 AI 모델 성능 평가의 실무 가이드
박희현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한서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학과 교수. 제너럴일렉트릭(GE), 아트넷(Artnet), 글래머 매거진(Glamour magazine) 등 미국 내 글로벌 기업에서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99쪽
9791143010940
12000원
AI와 디자인
01 AI와 캐릭터 디자인
02 AI 기술의 기초
03 캐릭터 디자인의 역사와 진화
04 AI 도구와 기법 소개
05 캐릭터와 정보 디자인
06 상호작용과 맞춤형 캐릭터 생성
07 협업 디자인 프로세스
08 윤리적 및 법적 문제
09 미래 트렌드와 혁신
10 응용과 구현
안재린
교육학 박사.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고전 및 현대언어학과 교수.
130쪽
9791143012050
12000원
AI 시대, 한국어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01 AI와 언어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02 한국어 교실로 들어온 AI
03 기계 번역과 AI
04 한국어 학습을 위한 효과적인 프롬프팅
05 AI와 쓰기
06 AI 피드백
07 AI와 말하기
08 AI 활용의 윤리적 쟁점
09 함께 만드는 AI 정책
10 AI와 교사의 역할 변화
박선종
법학 박사. 숭실대학교 법학과 교수.
106쪽
9791143012791
12000원
금융 투자의 조력자 AI
01 개인 투자자가 주식 시장에서 수익을 내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
02 금융 투자 상품의 종류
03 직접 투자와 간접 투자
04 직접 투자와 AI
05 간접 투자와 AI
06 장단기 투자와 AI
07 투자 자산의 배분과 AI
08 국내외 투자와 AI
09 ETF 투자와 AI
10 AI 조력 투자의 핵심
박인수
한국영상대학교 영상 편집제작학과 교수.
106쪽
9791143012524
12000원
손끝에서 두뇌로, 그리고 미래로
01 영상 편집, 왜 누구나 할 수 있나?
02 손끝의 예술가에서 두뇌의 설계자로
03 생성형 AI와 영상 편집의 원리
04 AI 영상 편집 도구 총정리
05 자동화: 반복은 기계에게, 창의는 내게
06 텍스트로 영상을 만드는 시대
07 콘텐츠 목적에 따른 편집 전략
08 AI 편집 도구의 조합과 워크플로 설계
09 편집 윤리와 진실, 그리고 인간의 감각
10 AI 영상 마스터란?
김동환
문학박사, 해군사관학교 영어과 교수
147쪽
9791143012159
12000원
기술적 생동감의 결정체, 로봇
01 로봇의 신화적 모습
02 로봇공학의 두 가지 접근 방식
03 공장에서 일하는 로봇
04 일상에서 분주한 휴머노이드 로봇
05 군대에서 활약하는 로봇
06 우주로 나아가는 로봇
07 성차별을 당하는 로봇
08 감정을 표현하는 로봇
09 사이보그로 통합되는 로봇
10 불쾌한 골짜기 속의 로봇
김효정
의료정보학 박사. 가톨릭대학교 바이오메디컬소프트웨어학과 교수, PHI (Precision & Provenance Health Informatics) Lab 책임교수.
197쪽
9791143011060
12000원
정밀 의료의 혁명이 시작되다
01 의료 인공지능의 역사
02 의료 인공지능의 사례
03 유전체 혁명: 정밀 의료의 기반
04 의료 영상의 미래: AI의 눈으로 보는 질병
05 빅데이터와 전자 건강 기록: 의료의 디지털 혁명
06 맞춤형 치료 시대: AI가 설계하는 개인화 의료
07 수술실의 혁명: AI 로봇과 함께하는 수술
08 언어 모델과 의료 빅데이터: AI가 읽는 의학 지식
09 윤리와 보안
10 미래의 의료
노윤지
일본문학 박사. 고려대학교 출강. 《시골선생(田舍敎師)》, 《미키 로후 시선(三木露風詩選)》, 《무로 사이세이 시선(室生犀星詩選)》, 《사토 하루오 시선(佐藤春夫詩選)》 등 번역 출간.
118쪽
9791143008589
12000원
인공지능 번역의 미래를 사유하다
01 기계 번역의 발전
02 일본의 온라인 AI 번역
03 일본 문학과 AI의 활용
04 일본 문학 번역의 흐름
05 일본 문학 번역의 특성
06 AI와 고어 번역
07 AI 번역의 예시
08 AI 시대 번역가의 역량
09 AI 시대 번역 윤리와 저작권 문제
10 AI 번역의 미래와 일본 문학 연구의 전망
김예성
한국공인회계사. 음성 인식 인공지능 스타트업 CFO.
147쪽
9791143010858
12000원
AI 시대, 전문직은 사라지는가?
01 전문직의 기원, 존재의 이유
02 생성형 AI와 대규모 언어 모델의 발전과 국가의 관점
03 고객과 일하는 모습이 변한다
04 업계별 AI 활용 현황
05 전문 영역별 AI 도입 현황: 미국, 일본, 독일
06 온톨로지가 전문직의 업무에 도입된다면?
07 AI 시대에 기업은 어떤 인사 의사 결정을 내려야 할까?
08 AI 시대에 기업은 어떤 컴플라이언스 의사 결정을 내려야 할까?
09 AI 시대에 재무 담당 임원은 어떤 의사 결정을 내려야 할까?
10 AI와 전문직의 미래
손현주
정치학 박사. 전주대학교 교수.
149쪽
9791143009302
12000원
기계에 마음을 줄 수 있는가
01 AI 시대의 감정과 욕망
02 AI 연애 시뮬레이션의 현재
03 인간과 AI 연애
04 인공 친밀감의 기술
05 욕망하는 기술, 동의 없는 관계
06 인간기계 관계의 심리적 모순
07 젠더, 코드 그리고 성 정체성
08 규범, 법, 윤리의 충돌
09 고독의 시대, 연애의 자동화
10 인간 이후의 감정 구조
김지영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전공 겸임교수. 인천광역시도서관발전진흥원 재직.
124쪽
9791143009791
12000원
AI 도서관 트렌드
01 AI와 도서관
02 AI 기반 도서관 서비스
03 AI와 스마트 도서관
04 AI와 디지털 아카이빙
05 AI와 정보 검색
06 AI와 공공 도서관
07 AI 리터러시와 도서관
08 AI 윤리와 도서관
09 AI 시대 사서의 역할
10 AI 전략과 도서관
박은비, 양종모
(박은비) 음악학 박사.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교수.
(양종모) 교육학 박사. 부산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전 교수.
131쪽
9791143014061
12000원
AI 음악 생성기의 시대
01 디지털 음악의 역사와 AI 음악의 탄생
02 AI 음악 생성기의 발달과 다양성
03 수노, 등장과 파급력
04 수노 창작 음악의 특성
05 수노로 음악 만들기
06 수노,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법
07 수노, 음악 교육 커리큘럼에서의 통합
08 AI 음악 생성과 윤리
09 AI 음악 생성기의 발전 방향과 교육적 적용
10 AI 음악 생성기의 미래
조준형
언어학 박사. 경상국립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
118쪽
9791143013453
12000원
AI 시대 어문학의 정체성
01 AI와 어문학의 위기와 상생
02 프랑스의 AI 정책
03 프랑스의 어문학 연구와 AI
04 코퍼스 언어학과 생성형 AI
05 디지털 기술과 국내 프랑스 언어학 연구
06 프랑스 문학과 AI
07 AI와 프랑스의 교육 정책
08 국내 프랑스어 교육과 생성형 AI
09 생성형 AI와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10 AGI와 프랑스 어문학의 미래
박상권
시각디자인 박사. 건국대학교 시각영상디자인학과 교수.
118쪽
9791143013729
12000원
AI, 광고 영상의 새로운 언어
01 AI 광고 영상 제작의 이해
02 AI 시대, 광고 영상의 변화
03 AI 아이데이션과 프리 프로덕션
04 AI 네이티브 프로덕션
05 AI 포스트 프로덕션
06 AI와 가상 인간
07 AI 도입의 과제
08 AI 저작권과 윤리
09 AI 시대, 변하지 않는 가치
10 AI 광고 영상의 미래
권혜근, 문현경
(권혜근) 예술철학 박사. 서울대 음악교육학과 강사.
(문현경) 음악교육학 박사과정.
120쪽
9791143010124
12000원
AI 프롬프트와 음악 교육
01 음악 수업에 찾아온 생성형 AI
02 프롬프트란 무엇인가?
03 연주 수업과 프롬프트
04 감상 수업과 프롬프트
05 창작 수업과 프롬프트
06 학생이 만드는 프롬프트
07 교사가 만드는 프롬프트
08 수업에 바로 쓰는 프롬프트 템플릿
09 음악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AI 도구 가이드
10 AI와 함께하는 음악 교사의 미래
심양섭
정치학 박사. 탈북청소년 남북교육공동체 대표.\
133쪽
9791143012555
12000원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부모의 역할
01 AI 시대의 학습 방식 변화
02 AI 시대의 진로 설계
03 교실 속 인공지능
04 성적보다 중요한 것
05 스스로 배우는 아이로 키우기
06 AI가 대체하지 못할 능력
07 AI 시대의 정서 관리
08 AI를 두려워하지 않는 부모 되기
09 AI 윤리와 디지털 시민 의식
10 가정에서 실천하는 AI 시대 교육
김미경
신문방송학 박사. 청운대학교 미디어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131쪽
9791143013699
12000원
인공지능 시대, 인간 창의성의 새로운 여정
01 인공지능과 창의성의 만남
02 생성형 AI의 원리와 잠재력
03 인간 창의성의 본질 재해석
04 예술과 콘텐츠 창작의 변화
05 창의성: 인간과 AI 에이전트의 협업
06 인간-AI 협력과 증강 지능
07 윤리와 저작권의 도전
08 인공지능 창의성과 신뢰, 인간 감독의 중요성
09 Co-Creation, 증폭기, 조력자로서의 AI
10 포스트 AI 창의성
김인근, 김우규
(김인근) 무역학 박사. 한국국제상학회 이사. 한국무역협회 재직.
(김우규) AI정보과학 박사과정. 한국IT마스터즈 대표이사.
123쪽
9791143013866
12000원
AI 시대, 무역을 묻다
01 AI와 통상 환경 변화
02 AI와 무역 혁신
03 AI와 시장 조사
04 AI와 마케팅
05 AI와 무역 리터러시
06 AI와 공급망 관리
07 AI와 무역 데이터
08 AI와 리스크 관리
09 AI와 디지털 통상
10 기업의 AI 도입 전략
황흥기
넥스트임팩트 대표. 사회복지사. 비영리분야 디지털혁신 컨설턴트.
117쪽
9791143013835
12000원
AI와 비영리 조직의 만남
01 AI와 사례관리
02 AI와 상담
03 AI와 모금
04 AI와 프로그램 기획·운영
05 AI와 자원봉사
06 AI와 행정·회계
07 AI와 슈퍼비전
08 AI와 비영리 조직 윤리
09 AI와 민원 관리
10 AI와 비영리 조직의 미래
김동민
신문방송학 박사. 한국AI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 전 한일장신대학교 교수.
171쪽
9791143010919
12000원
미디어 생태학과 AI
01 미디어 생태계의 역사
02 저널리즘의 혁신적 변화와 철학
03 방송 제작 환경의 변화
04 OTT와 AI
05 CES 2025, AI 기반 미디어의 진화
06 세대 구분과 미디어 생태계
07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AI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
08 AI 시대 지상파 방송의 역할
09 메타버스, 10차원의 시공간?
10 AGI와 특이점은 어떻게 오는가
송현희
문학 박사. <팡세아트스토리텔링> 운영 및 기획. 전북대학교, 제주대학교, 경찰대학교, 충북대학교 등 출강.
90쪽
9791143013606
12000원
아동 청소년 문학 속 인공지능의 의미
01 〈시간의 주름〉: 테서렉트의 시간 여행
02 〈올 굿 칠드런〉: 알고리즘으로 구성된 미래 도시
03 〈멋진 신세계〉: 과학적 대량 생산된 인간
04 〈라스트 쿠엔티스타〉: 마지막 기억과 과학의 반비례 관계
05 〈너무 완벽한 세상〉: 완벽하지 않은 복제 인간 세계
06 〈다이버전트〉: 유전자 조작의 반발
07 〈제5침공〉: 과학 발달과 외계인 침공의 아이러니
08 〈7구역 소년〉: 통제의 마더랜드
09 〈언원티드〉: 원하지 않는 존재
10 〈코딩하는 소녀〉: 앱의 복제 문제
문선희, 김지연
(문선희) 국어교육학 박사. 중학교 국어 교사.
(김지연) 물리학, 교육학 석사. 중학교 과학 교사.
136쪽
9791143010094
12000원
교육 패러다임의 대전환과 AI의 등장
01 질문 중심 학습의 새로운 생태계
02 AI 도구의 교육적 활용
03 AI 파트너십의 핵심 원칙
04 AI 시대 교사의 역할 재정립
05 AI 파트너십 시대의 교사 전문성
06 AI가 바꾼 교실
07 AI와 글쓰기 수업, 그리고 평가
08 AI 교육 활용의 한계와 위험
09 영역별 AI 활용의 구체적 한계와 접근 원칙
10 AI 시대의 과학 교육의 미래
박성준
글로벌문화콘텐츠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성대학교 강사.
132쪽
9791143012852
12000원
AI 시대, 웹소설 창작의 새로운 지평
01 AI 시대의 창작 환경 이해하기
02 웹소설의 본질
03 웹소설, AI 창작에 유리한 이유
04 기획 도구로서의 AI 활용
05 취재 및 장면 묘사 보조 도구로서의 AI 활용
06 교정·교열 및 스타일 피드백 도구로서의 AI 활용
07 AI 웹소설 창작 플랫폼의 유형과 특징
08 주요 AI 웹소설 플랫폼의 실제 분석과 한계
09 AI 창작 웹소설의 문제점과 보완 방안
10 AI와 웹소설 창작의 미래, 작가의 새로운 위상
김윤명
법학 박사. 디지털정책연구소(DPI) 소장. 이재명 대통령후보(20대, 21대) 캠프 활동. 전 네이버 정책수석.
142쪽
9791143010612
12000원
자율과 통제의 AI와 오픈소스
01 AI는 왜 오픈소스를 요하는가
02 오픈소스와 생성형 AI의 등장
03 오픈소스 라이선스와 AI 개발의 법적 쟁점
04 학습 데이터는 오픈소스가 될 수 있는가
05 AI 오픈소스와 저작권법의 미래
06 AI 오픈소스의 공공성과 민주성
07 오픈소스 모델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08 기업은 왜 오픈소스를 채택하고 버리는가
09 AI 오픈소스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
10 오픈소스 AI의 글로벌 거버넌스와 국제 규범
김영경
상담심리학 박사. (주)더헤드코치 대표, 계원예술대학교 외래교수.
127쪽
9791143011152
12000원
정체성의 위기와 리더십의 전환
01 리더십의 재정의
02 브랜딩 리더의 조건
03 자기 탐색의 구조화
04 스토리 기반 자원 발굴
05 가치와 철학의 언어화
06 정체성 기반 영향력 정렬
07 미래 아웃컴 설계
08 퓨처 백 실행 전략
09 AI 시대의 리더십 브랜딩 설계법
10 윤리와 지속 가능성
정지은
예술학 박사. 조선대학교 교수.
124쪽
9791143008282
12000원
디지털 문화예술의 새로운 지평
01 디지털 혁신과 문화예술
02 디지털 문화예술 정책의 변화
03 메타버스와 문화 콘텐츠
04 메타버스와 예술가
05 AI와 가상현실이 바꾼 문화예술 교육
06 AI와 예술 창작
07 문화유산의 디지털화
08 메타버스와 AI의 융합
09 디지털 문화예술의 윤리
10 디지털 시대 문화예술의 미래
진실희
통번역학 박사. 중앙대학교 교수.
129쪽
9791143011756
12000원
AI 시대, 통·번역의 새로운 패러다임
01 AI 통·번역 기술의 역사와 현재
02 인간 통·번역과 AI 통·번역의 차이점
03 AI 통·번역 사용 시 유의점
04 인간 통·번역이 필요한 경우
05 AI와 통·번역 전문가의 협업 모델
06 AI 시대, 통·번역 전문가의 새로운 역할
07 AI 통·번역과 윤리의 문제
08 AI 통·번역과 교육의 변화
09 미래의 통·번역 산업 전망
10 통·번역의 새로운 가능성
고재형
영상학 박사. 전주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
149쪽
9791143013330
12000원
생성형 AI와 함께 멈추지 않는 미장센의 진화
01 미장센의 개념과 진화
02 생성형 AI 미장센 사례 분석
03 장르별 생성형 AI 영상 미장센 분석
04 생성형 AI가 만드는 구도
05 생성형 AI와 영상 카메라워크의 진화
06 생성형 AI와 영상 블로킹
07 알고리즘이 만드는 색채의 재해석
08 생성형 AI 영상 조명 미장센
09 생성형 AI 사운드 미장센
10 생성형 AI 영상 미장센의 미래 전망
황충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수출전문위원.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e-MBA 수료.
137쪽
9791143007988
12000원
AI와 제3의 눈: 인지의 시대, 학습을 다시 생각하다
01 타 인지란 무엇인가
02 메타 인지 학습법의 역사와 진화
03 AI를 통한 자기 점검 학습
04 AI 시대의 목표 설정과 메타 인지
05 전략적 학습법과 AI 기반 스캐폴딩
06 실시간 데이터로 학습 조절하기
07 실패로부터 배우기: 메타 인지 회복 전략
08 AI 시대의 자율성과 자기 주도 학습
09 협력, 성찰, 그리고 사회적 메타 인지
10 메타 인지와 학습의 미래
전기제, 신영규
(전기제) 체육학 박사. ㈜같이의가치 CTO, 국민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신영규) ㈜같이의가치 CEO. 체육학 박사 과정. 체육지도자 연수원 시험위원 및 연수교수, FMP 최고경영자과정 총동문회장, 한국대학보디빌딩협회 심사위원.
147쪽
9791143009760
12000원
AI와 피트니스
01 AI와 피트니스의 만남
02 AI로 완성되는 개인 맞춤형 트레이닝
03 스마트 피트니스 AI와 기기의 통합
04 AI 기반 피트니스 장비와 애플리케이션
05 AI와 고객 관리
06 AI와 피트니스 마케팅
07 AI와 헬스케어의 융합
08 AI와 피트니스 비즈니스의 자동화
09 AI 피트니스의 미래
10 AI 피트니스 실천하기
정윤경
법학 박사.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149쪽
9791143011725
12000원
「AI 법」 도입과 지식재산권 패러다임 변화
01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와 법적 대응
02 유럽연합 「인공지능법」 제정과 주요 내용
03 일본의 인공지능 규제 로드맵과 주요 내용
04 중국의 인공지능 규제 체계
05 우리나라 「인공지능 기본법」의 제정 경과와 주요 내용
06 AI와 「특허법」
07 AI와 「저작권법」
08 AI와 「상표법」·「부정경쟁방지법」
09 국제 규범과 국내 법제의 조화
10 AI 시대의 지식재산권 해석과 입법 방향
신승인
교육학 박사. AI융합교육연구회 회장. 서울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장, 산업정보학교 및 경기기계공업고 교장 등을 역임.
135쪽
9791143008220
12000원
AI 시대의 길을 찾는 지도와 칼, 생존 전략
01 AI 빅뱅 시대
02 AI와 직업 지형의 충돌 지도
03 직업의 미래 경계선
04 공존의 루트맵
05 윤리의 경계 지도
06 스킬 이코노미의 시대
07 AI 시대 핵심 역량
08 청소년과 대학생을 위한 AI 활용법
09 커리어 리셋 로드맵
10 나만의 커리어 나침반 만들기
이호은, 이형주
(이호은)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청운대 교수.
(이형주) CJ ENM AI 제작PD.
134쪽
9791143008077
12000원
AI와 쇼트폼
01 짧아야 통한다, AI와 쇼트폼의 시대
02 쇼트폼 콘텐츠를 위한 AI 도구 생태계
03 쇼트폼을 위한 AI 프롬프트
04 스토리텔링의 핵심
05 AI 기반 시각적 스타일
06 AI로 강화하는 음향과 음악 디자인
07 효율적인 AI 기반 편집
08 AI를 활용한 트렌드 분석과 콘텐츠 최적화
09 AI와 인간 창의성의 균형 찾기
10 미래를 위한 준비와 지속 가능한 성장
김윤명
법학 박사. 디지털정책연구소(DPI) 소장. 이재명 대통령후보(20대, 21대) 캠프 활동. 전 네이버 정책수석.
116쪽
9791143005359
12000원
왜, 데이터 윤리인가?
01 데이터 윤리
02 데이터 수집과 윤리
03 데이터 편향
04 딥페이크
05 합성 데이터와 우생학적 문제
06 프로파일링과 투명성
07 데이터 포이즈닝
08 데이터 공정 이용
09 알고리즘과 결합된 데이터 윤리
10 시사점
전안나
책 읽기, 글쓰기 저서를 12권 집필했으며, KBS 아침마당, EBS 다큐프라임 등 방송 출연 다수.
136쪽
9791143013484
12000원
직장인 업무의 70%는 글쓰기
01 직장인 글쓰기의 특징
02 생성형 AI의 글쓰기 원리
03 생성형 AI로 글쓰기 도움 받기
04 생성형 AI가 잘하는 글쓰기, 잘 못하는 글쓰기
05 생성형 AI와 인간 작가의 협업
06 생성형 AI 글쓰기와 저작권
07 생성형 AI 한계와 사용 제한
08 생성형 AI와 글쓰기 윤리
09 직장인 글쓰기에 유용한 생성형 AI 도구 10종
10 AI 시대, 직장인은 왜 여전히 글을 써야 하는가?
손영성
컴퓨터공학 박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108쪽
9791143009739
12000원
인간을 닮은 기계, 왜 지금인가?
01 휴머노이드 로봇 시대의 서막
02 휴머노이드 로봇이란 무엇이며 왜 인간의 형태를 닮는가?
03 휴머노이드 로봇을 움직이는 핵심 AI 기술
04 최신 휴머노이드 로봇 AI 모델 동향
05 휴머노이드 로봇 AI가 마주한 기술적 난제
06 휴머노이드 로봇, 우리 삶으로 들어오다
07 휴머노이드 로봇 대중화를 가로막는 과제들
08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경쟁을 위한 제언
09 휴머노이드 로봇의 미래 전망
10 인간과 로봇의 공존,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신승기
교육학 박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193쪽
9791143008886
12000원
AI와 초등교육
01 AI와 미래 사회: 초등교육의 역할
02 컴퓨팅 사고력: AI 시대의 핵심 역량
03 구성주의와 AI 교육: 디지털 시대의 학습 원리
04 2022 개정 교육과정과 AI 교육
05 AI + X: 초등학교에서의 융합 교육
06 디지털 소양과 AI 리터러시
07 초등학교에서 AI 활용의 세 가지 관점
08 AI와 초등교사의 역할 변화
09 AI 교육을 위한 학교와 가정의 협력
10 AI 시대의 교육철학과 윤리
김진영
영상학 박사. 세종대학교 초빙교수.
125쪽
9791143006653
12000원
AI와 신화의 만남
01 인류에게 신화란
02 AI의 출현과 인간 노동의 재정립
03 AI를 통한 불로불사의 꿈
04 AI에 위로받는 인류
05 AI의 관리를 받는 인류
06 AI 통제 상실과 기술에 대한 공포
07 AI 트랜스휴먼, 인간과 기계의 경계
08 AI 휴머노이드, 인공 생명 창조
09 AI 휴머노이드, 인간 정체성 혼란
10 AI가 묻고 신화가 답하다
김은수
전문법학박사. 서울대학교 인공지능신뢰성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인터넷기업협회 개인정보 분야 전문위원(2019),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객원연구원(2021∼2022)을 역임.
120쪽
9791143008701
12000원
AI 제품의 경쟁력과 프라이버시 문제
01 AI 거버넌스의 현황 및 전망
02 리스크 개념과 리스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이론적 논의
03 AI 리스크와 프라이버시 리스크
04 개인정보 보호 규제 체제에서의 리스크 관리
05 민감정보의 보호와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06 데이터 수집과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07 데이터 활용과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08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 접근법과 AI 책임 부과 접근법
09 데이터 거버넌스와 AI 거버넌스
10 인간 중심의 거버넌스의 재조명
안중민
법무법인(유한) 동인 구성원 변호사.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글로벌사이버대학 겸임교수.
175쪽
9791143008671
12000원
AI법의 이정표: 한국과 EU의 AI법
01 한국 AI기본법의 입법 배경과 특성
02 EU AI법의 주요 내용과 글로벌 영향
03 고영향 AI와 고위험 AI 시스템의 정의
04 한국과 EU의 AI 위험 분류 체계
05 알고리즘 투명성 확보 의무
06 AI 안전성 확보 메커니즘
07 고영향 AI 영향 평가와 적합성 평가
08 AI 윤리와 자율 규제(AI 얼라인먼트)
09 중소기업을 위한 AI 규제 대응 가이드
10 AI 규제의 균형점과 미래 전망
김광연
철학 박사. 숭실대학교 교수.
117쪽
9791143013187
12000원
AI 기술의 현주소
01 호모 파버와 휴머노이드
02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과 휴머니즘의 붕괴
03 플라톤의 이데아: 본유 관념과 의미
04 칸트의 인간미와 공통감
05 들뢰즈의 기관 없는 신체
06 몸의 기술화와 신체 해체주의
07 흄의 상상력: 휴머노이드, 개와 늑대의 시간
08 심리적 기능주의와 마음의 기원
09 하버마스와 샌델: 휴머니즘의 귀환
10 레비나스: 타자 윤리와 미래와의 공존
이상우
법학박사, 인하대 AI·데이터법정책학과 초빙교수 겸 AI·데이터법센터 부센터장,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겸직교수.
132쪽
9791143012975
12000원
딥시크를 생각한다
01 슬기로운 공대 생활
02 AI 흑묘백묘론
03 항저우 육소룡이 나르샤
04 미·중 AI 패권 경쟁
05 21세기 양탄일성, AI
06 안보 수호를 위한 양날의 검
07 딥시크와 개인정보 유출 문제
08 만리방화벽을 뛰어넘는 AI
09 AI 쇄국 정책과 척화비
10 천하 삼분지계
정용찬
통계학 박사.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ICT통계정보연구실 선임연구위원, OECD 인공지능지수 전문가그룹 위원. 고려대 겸임교수.
112쪽
9791143010032
12000원
AI와 데이터는 바늘과 실
01 AI와 데이터
02 데이터 중심 AI
03 AI 학습용 데이터
04 AI 학습 데이터 품질 관리
05 생성형 AI 데이터 품질 관리
06 생성형 AI 데이터 보안
07 AI와 합성 데이터
08 AI 데이터 센터
09 AI 국가 전략과 데이터
10 「AI 기본법」과 데이터
박재훈
AI PFM(개인재무관리)솔루션 기업 웰스가이드의 퇴직연금솔루션 부문 총괄. 핀테크 기업인 Core16의 자산배분모델 자문역.
130쪽
9791143009241
12000원
투자 분석 업무를 혁신하는 AI
01 휴먼 애널리스트의 한계와 AI 등장
02 AI 금융 애널리스트 업무 범위와 기술적 진화
03 AI로 재무제표 분석
04 AI가 쓴 분석 리포트 신뢰도와 평가
05 인간과 AI의 기업 이익 추정 능력 비교
06 헤지펀드 영역까지 파고든 AI
07 AI 애널리스트 리서치의 실제 구현과 글로벌 사례
08 AI 리서치의 활용 전략과 실무 적용 방법
09 AI 금융 리서치의 위험과 규제
10 인간과 AI 협업 모델
권영우
디지털경영학 박사. 한국인공지능협회 인공지능연수원장.
130쪽
9791143011039
12000원
AI 시대 성공적인 기업 경영 전략
01 기업의 AI 활용 비즈니스 창출 전략
02 AI 도입을 위한 전략적 경영 기획
03 AI 기반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
04 생산 관리에서의 AI 활용
05 공급망 관리와 물류의 AI 활용
06 AI를 활용한 인적 자원 관리
07 AI를 활용한 재무 관리
08 AI 기술 개발 및 조직 문화와 윤리
09 기업의 성공적인 AI 도입 실행 전략
10 AI 도입 효과 측정 및 지속 가능 경영
박신희
미술학 박사. 융합 디자인 연구소 ‘메타필리아’를 운영. 경복대학교 겸임교수.
171쪽
9791143007711
12000원
AI 시대의 장소 만들기
01 현대 장소의 개념과 변화
02 AI 시대의 장소성 개념 재정립
03 스마트 시티와 공공 디자인의 AI 활용
04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AI의 융합
05 AI 기반 몰입형 경험 디자인
06 AI 기반 게임화와 도시 공간 혁신
07 AI와 공동 창조 공간 설계
08 AI 에이전트 기반 지능형 공간 구축
09 AI 기반 대안적 장소 만들기 시스템
10 인공지능 장소 만들기의 미래 전망과 정책적 과제
이은영, 김현의, 박은준
(이은영) 철학 박사. 부산가톨릭대 교수.
(김현의) 보건의료정보학 박사. 서울대 교수, 서울대병원 AI연구원 겸임교수.
(박은준) 간호학 박사. 한국방송통신대 교수, 한국간호윤리학회 기획이사.
126쪽
9791143010445
12000원
AI 기술과 간호 돌봄의 공존성
01 돌봄의 간호학적 성찰
02 AI 시대 간호 돌봄의 인간학적 성찰
03 간호 돌봄의 철학적 성찰
04 간호 돌봄의 사회·정치학적 성찰
05 정보 통신 기술의 간호 도입
06 간호 및 보건 의료 분야의 인공지능 기술 동향
07 AI의 간호 접목 사례
08 AI 기술과 간호 윤리
09 AI 시대 간호사의 역할과 역량
10 AI 시대 간호의 변화 전망
김선영, 김기창, 백지연
(김선영) 예술경영학 박사, 홍익대 교수.
(김기창) 문화예술경영학 박사과정.
(백지연) 문화예술경영학 박사과정. 갤러리 대표, 기획자.
137쪽
9791143008107
12000원
AI가 바꾸는 커버 음악 생태계
01 현대 팝을 노래하는 고인이 된 전설들
02 AI 커버 음악의 기원
03 AI 커버 기술과 음악의 민주화
04 AI 커버 음악과 전통적 커버 음악 수용의 경계
05 버클리 음대의 AI 커버 음악 정규 커리큘럼
06 AI 커버 음악과 라이선스
07 AI 커버 음악의 투명성 : 구글 딥마인드
08 드레이크와 위켄드 AI 듀엣의 교훈
09 AI 커버 음악 저작권 공유 모델
10 AI 커버 음악에 의한 문화적 전환
정용복
언론학 박사. 한국방송학회 지역방송연구회장,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연구이사, 언론인권센터 지역협력위원장, 《언론과학연구》 편집위원, 제주언론학회 부회장, 제주언론인클럽 사무처장, 제주대학교 총동창회보 편집위원장 등.
196쪽
9791143007537
12000원
초등교육, AI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01 AI의 이해
02 AI 리터러시와 초등교육
03 머신러닝과 데이터의 기초
04 놀이 중심의 AI 학습
05 AI 기반 창의성 교육
06 초등학생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07 AI 윤리와 디지털 시민성
08 초등교사의 AI 실천 역량
09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디지털 안전
10 AI와 미래형 초등 교실
구석모, 이하나
(구석모) 정보기술학 박사.
(이하나) 광고홍보학 석사 수료.
118쪽
9791143010063
12000원
AI와 함께 일하는 법, 인간답게 살아남는 법
01 AI 혁명, 현주소와 맥락 읽기
02 일하는 방식의 혁신
03 직무의 종말은 오지 않는다
04 AI 기반 자기 성장 엔진
05 AI, 잠재력을 현실로
06 직급별 AI 활용 심층 전략 1
07 직급별 AI 활용 심층 전략 2
08 능력 격차를 넘어 활용 격차로
09 AI 시대, 인간 고유 역량의 재발견
10 지속 가능한 커리어를 위한 전략과 태도
박지영
조직심리학 박사. 덕성여자대학교 교수.
167쪽
9791143009098
12000원
왜 일의 의미에 주목해야 하는가?
01 일의 의미의 정의와 원천
02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03 인공지능과 자율성, 일의 의미
04 인공지능과 유능성, 일의 의미
05 인공지능과 관계성, 일의 의미
06 인공지능 사용의 즐거움과 일의 의미
07 인공지능으로 야기된 불안과 일의 의미
08 인공지능과 핵심 직무 특성, 일의 의미
09 일의 의미를 만들고 유지하는 개인
10 일의 의미를 만들고 유지하는 조직
김연희
예술경영학 박사. 국민대 교수. 문화체육관광부 국공립박물관·미술관 설립 타당성 사전평가 심의위원, 문화체육관광부 정책연구심의위원회 위원, 한국저작권보호원 저작권보호심의위원, 경기도 건축물 미술장식품 심의위원, 수원시 박물관 운영위원.
148쪽
9791143011091
12000원
디지털 전환, 뮤지엄 혁신의 시작
01 VR과 오감 체험 전시
02 AR과 전시 연출 기술
03 몰입형 미디어 콘텐츠
04 문화 유적지의 디지털 복원
05 뉴 미디어와 전통 예술 융합
06 디지털 아카이브와 전시
07 블록체인과 AI 기반의 미술품 유통
08 온라인 플랫폼으로서의 뮤지엄 기능
09 인터랙티브 기술을 통한 관람객 경험 강화
10 AI 시대, 살아 있는 뮤지엄 콘텐츠 재구성
허훈
철학 박사. 한국연구재단 소속 인문사회 학술연구교수.
144쪽
9791143007926
12000원
이인삼각 경기에 나선 인공지능과 영원 철학
01 인공지능의 정점, 슈퍼 인공지능의 등장
02 미궁에 빠진 전통 형이상학
03 인공지능 철학과 윤리학
04 지난 모든 세기의 윤리학과 인공지능
05 딜레마에 빠진 현대 윤리학
06 동시에 출현한 인공지능과 영원 철학
07 동서고금 지성의 핵심 영원 철학
08 사분면 철학
09 물질개벽과 정신개벽
10 슈퍼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 문명
정소영
매스커뮤니케이션학 박사. 동아대 교수.
147쪽
9791143009067
12000원
미래를 읽는 새로운 눈, AI 리터러시의 시작
01 AI는 왜 사람마다 다르게 받아들일까?
02 블랙박스 AI, 어떻게 결정을 내릴까?
03 AI는 인간의 사고를 어떻게 모방했을까?
04 인지심리학과 AI: 우리는 어떻게 생각할까?
05 AI는 우리 뇌처럼 생각할 수 있을까?
06 AI와 함께 자라는 아이들, 괜찮을까?
07 AI에 빠진 10대, 뇌는 어떻게 변할까?
08 교육과 AI: 학교에 AI가 들어온다면?
09 미래의 나, AI와 함께 일할 수 있을까?
10 모두를 위한 AI 사회, 가능할까?
손지현
미술교육학 박사. 서울교육대 미술교육과 교수. 서울교육대학교 미술영재교육원장(2021∼2022). 대학생활문화원장.
110쪽
9791143005151
12000원
디지털 시대의 미술 교육
01 미술 교육에서 AI 리터러시
02 현대 미술에 나타난 예술가-AI 협업 사례
03 미술 창작 교육에서 AI 활용
04 미술 감상 교육에서 AI 활용
05 미술 교육에서 AI와 창의성
06 미술관 교육에서 AI 활용
07 시각 문화 교육에서 AI
08 융합 미술 교육에서 AI 활용
09 AI와 미술 치료
10 미술 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AI 리터러시
김윤명
법학 박사. 디지털정책연구소(DPI) 소장. 이재명 대통령후보(20대, 21대) 캠프 활동. 전 네이버 정책수석.
149쪽
9791143010643
12000원
정치권력으로서 AI와 오픈소스
01 기술 민주주의는 가능한가: AI 시대의 오픈소스 정치 철학
02 데이터는 누구의 것인가: 오픈소스 모델의 경제적 기반
03 모델 개방인가, 플랫폼 독점인가: 오픈소스의 경계 전략
04 AI 오픈소스와 무상 노동: 기여자의 권리와 자본의 수익화
05 기술 주권과 오픈소스: 공공 AI 개발의 조건과 한계
06 AI 특허와 오픈소스의 충돌: 폐쇄적 권리 대 개방적 이용
07 거버넌스 없는 개방: AI 오픈소스와 안전 문제
08 글로벌 기술 패권과 오픈소스 전략: 미국, 유럽연합, 중국의 AI 질서
09 공유에서 통제로: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전략화
10 오픈소스 이후의 질서: 디지털 공공성과 기술 계약의 재구성
강지성
문화예술경영학 박사 수료. (재)예술경영지원센터,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등에서 작가 디지털 아카이브 및 소장품 관련 업무 수행. 서울특별시 박물관미술관진흥정책심의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콘텐츠진흥원 자문위원.
130쪽
9791143013309
12000원
AI로 도래하는 문화 예술과 아카이브 변혁
01 아카이브의 개념
02 아트 아카이브
03 아트 아카이브 사례
04 아트 아카이브의 수집과 정리
05 데이터의 디지털 전환
06 아카이브의 디지털 도입과 발전
07 AI가 창조하는 인공지능 아트
08 AI가 아카이브에 미치는 영향
09 아트 아카이브 저작권과 AI
10 아키비스트와 AI 리터러시
김윤명
법학 박사. 디지털정책연구소(DPI) 소장. 이재명 대통령후보(20대, 21대) 캠프 활동. 전 네이버 정책수석.
112쪽
9791143005410
12000원
왜 데이터 리터러시인가?
01 데이터 리터러시
02 데이터 윤리
03 데이터 저작권
04 데이터 계약
05 데이터 사일로와 문화
06 데이터 전략과 정책
07 데이터 거버넌스
08 데이터 사이언스와 CDO
09 데이터 민주화
10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