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AI는 이미 일상 속 깊이 스며들었으며, 1인 미디어 창작 도구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콘텐츠 제작, 마케팅, 유통 등 1인 미디어에서 AI를 활용하는 방법과 윤리적 쟁점까지 균형 있게 다룬다.
AI에 대한 정의 다음으로 일반인이 혼란스러워하는 AI 기술 발전에 대한 개념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인공지능은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인간 중심적 접근 시스템이자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시스템이다. 둘째, 인공지능은 머신 러닝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알고리즘을 통해 인간의 학습 방식을 모방하여 정확도를 증진하는 데 중점을 둔다. 셋째, 신경망(Neural Network)은 머신 러닝을 보다 구체화한 것으로 인간의 두뇌에서 영감을 얻은 방식이다. 끝으로, 딥 러닝의 심화(Deep)는 신경망의 레이어(Layer) 깊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 결과를 걸러내는 레이어가 입력과 출력을 포함해 3개 이상의 계층으로 구성된 신경망 방식이다.
-01_“AI 개념” 중에서
“기호란 무엇인가? 그것은 아날로그 미디어의 발명 이후 기계가 기록하는 의식 및 의미 현상의 요소다”라고 정의한 이시다 히데타카의 말처럼, AI는 기호학의 원리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호를 이해하고 처리함으로써,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만들어 준다. 기호학적 접근은 AI의 발전에서 중요한 기초가 되고 있다.
-03_“AI와 기호학” 중에서
AI 기술을 이용해서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목적을 설정해야 한다. AI에게 불명확한 요구를 하면 결과물도 두리뭉실하게 기준치 이하로 도출된다. 창작자는 원하는 목적을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콘텐츠 제작에 활용할 기본 데이터 준비 과정에서도 내용이 편향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한 과거의 데이터로서 가치가 떨어지는지 등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습 데이터만 너무 많이 학습해 새로운 데이터를 처리하지 못하는 과적합 문제가 발생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06_“AI와 콘텐츠 제작” 중에서
미디어 마케팅 분야에서 최근 강조되는 부분이 데이터 분석 및 성과 추적 분야다. 현장 마케팅 실무자들이 데이터 분석으로 많이 사용하는 도구들을 살펴보자. 우선 미디어 마케팅 분야에서는 일명 GA(Google Analytics)로 불리는 GA를 사용한다. AI 기능을 통해 웹사이트 트래픽 분석 및 사용자 행동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안을 도출한다. Sprout Social은 소셜 미디어 성과 분석 및 자동화된 보고서를 생성하는 도구로, AI를 활용하여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Crimson Hexagon은 소셜 리스닝 및 분석 도구다. AI를 통해 미디어 트렌드 및 사용자 반응을 분석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한다.
-09_“AI와 1인 미디어 전략”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