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초급 AI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발행일
2025/07/07
저자
김용석
소속
전자공학 박사. 건양대 AI·SW융합대학 학장. 전 삼성전자 수석연구원.
쪽수
149쪽
차례
초보자를 위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01 AI 언어 모델 이해하기 02 효과적인 프롬프트의 구조와 기본 패턴 03 프롬프트 개선 기술 04 작업별 프롬프트 05 고급 프롬프트 구조 06 실용적인 응용을 위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07 프롬프트 실패 이해하기 08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윤리적 고려 사항 09 프롬프트 라이브러리 구축 10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미래
정가
12000원
ISBN
9791143005052
분야
AI
2 more properties
미리보기
미리듣기
AI가 원하는 답을 내놓지 못하는 이유는 질문이 잘못됐기 때문이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프롬프트 작성 원칙과 실전 예제를 통해, AI 시대 핵심 역량을 길러준다.
우리가 언어 모델의 본질과 작동 방식을 이해하게 되면, AI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때 명확한 의사소통이 얼마나 중요한지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인간과의 대화보다 더 명확해야 하는 이유는 AI는 사용자 표정, 암묵적 문화 맥락, 배경지식을 이해하지 못한다. 따라서 더욱 정확한 언어적 표현이 요구된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도움 되는 사고방식은 “최소 가정의 원칙”이다. 이는 특정 요구 사항, 선호도, 맥락에 대해 명시적으로 설명하지 않는 한 모델이 아무것도 모른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것이 좋은 투자인가?”와 같이 묻기보다는, “20년 후 100만 달러를 저축해 은퇴하겠다는 목표에 비추어, 이 인덱스 펀드에 1만 달러를 투자하는 것이 과거 성과를 기준으로 볼 때 이 목표와 부합하는가?”와 같이 구체적으로 물을 수 있다. -01_“AI 언어 모델 이해하기” 중에서 프롬프트는 한 번에 완성되지 않으며, 반복적인 개선과 피드백이 필수다. 기본 사이클은 초안 작성 → 응답 관찰 → 분석 → 수정 → 반복이다. 버전 관리를 통해 개선 내역을 기록하고 효과를 분석하면 직관을 키울 수 있다. 다만 과도한 반복보다는 현실적 제약(요구 충족, 개선 한계 등)을 기준으로 종료 시점을 판단해야 한다. 불명확한 프롬프트는 부분 응답, 방향 이탈, 추가 질문 등으로 드러나며, 명확성 체크리스트(목표, 맥락, 형식 등)를 통해 사전에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응답 품질을 높이기 위해 맥락(청중, 목적, 상황)과 제약(형식, 분량, 어조 등)을 전략적으로 추가해야 한다. 복잡한 요청은 순차적 분해, 계층적 접근, 입력ᐨ출력 연쇄 방식으로 단순화할 수 있다. 모호성은 범위, 용어, 조건 명확화로 해결하며, 다양한 시나리오와 관점, 결정 프레임워크를 요청해 불확실성에도 대응 가능하다. -03_“프롬프트 개선 기술” 중에서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프롬프트를 통해 체계적인 분석과 선택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주요 기법은 다음과 같다. ᐨ 가중치 결정 행렬: 평가 기준 설정 → 중요도 가중치 → 옵션별 점수 → 총합 비교. ᐨ 장단점 분석의 고도화: 객관/주관, 단기/장기, 확실/불확실 요인별로 구조화된 장단점 분석. ᐨ 시나리오 플래닝: 최선/일반/최악 시나리오 등 가능한 미래를 가정하고 각 경우의 전략 설계. ᐨ 의사 결정 나무: 초기 선택지 → 결과 → 다음 선택지의 경로를 시각화하며 리스크 및 기회 평가. ᐨ 프리모텀(Pre-Mortem) 분석: 실패했다고 가정하고, 그 원인과 대응책을 사전에 설계. -06_“실용적인 응용을 위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중에서 프롬프트는 고정된 자산이 아니며, 지속적인 개선이 필수적이다. 버전 번호를 부여하고, 변경 이력과 성과를 문서화하며, A/B 테스트와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성능을 향상해야 한다. 실패가 반복되는 프롬프트는 원인 분석 후 지시어 수정, 예시 추가, 구조 재설계 등을 통해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프롬프트의 가치는 개인을 넘어 조직과 커뮤니티로 확장될 수 있다. 팀 단위의 라이브러리 공유, 프로젝트별 프롬프트 패키지 운영, 도메인 전문가와의 공동 작성, 커뮤니티 참여를 통한 상호 검토와 공유는 라이브러리의 품질을 높이고 활용도를 확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문서화 기준과 승인 프로세스, 기여자 기록 체계도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 -09_“프롬프트 라이브러리 구축” 중에서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6910796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66708544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8121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