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I와 지속 가능한 노동

발행일
2025/08/25
저자
김주희
소속
글로벌융합경영학 박사 과정. 경력 20년 이상 IT 업계 시스템 엔지니어.
쪽수
124쪽
차례
AI 시대, 노동의 의미와 가치를 다시 묻다 01 노동의 역사적 전환: 농업 사회에서 플랫폼 경제까지 02 AI가 촉발한 노동 환경의 거대한 전환 03 그림자 노동의 현대적 확장 04 디지털 그림자 노동, AI가 만들어 내는 착취 05 가짜 노동, 노동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도전 06 AI가 변화시키는 직업 구조와 노동의 가치 07 지속 가능한 노동의 조건, 인간의 자리 찾기 08 글로벌 사례로 보는 AI와 노동의 미래 09 AI 시대, 기업과 조직의 전략적 대응 10 AI와의 공존, 인간다운 노동을 위하여
정가
12000원
ISBN
9791143003225
분야
사회
2 more properties
미리보기
미리듣기
AI 확산이 초래한 노동의 구조 변화와 그림자·가짜 노동 문제를 짚고, 창의성과 자율성을 살리는 직무 재설계, 재교육, 정신 건강, 노동권 보호, 국제 협력 등 지속 가능한 노동 전략을 제시한다.
미국 캘리포니아의 ‘AB5 법안’이나 유럽연합(EU)의 ‘플랫폼 노동자 보호 지침(Platform Work Directive)’과 같은 법적 시도는 플랫폼 노동자의 고용 상태를 명확히 하고, 기업의 책임을 확대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여 준다(European Commission, 2024). 플랫폼 노동자에게도 기본적인 노동권을 보장하고, 기업과의 공정한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 플랫폼 경제가 불러온 노동 환경의 변화는 노동자 권리 보호를 위한 사회적 논의와 정책적 대응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노동자들이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노동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지 않는다면, 경제적 불평등과 사회적 불안정성은 더욱 심각해질 것이다. -01_“노동의 역사적 전환: 농업 사회에서 플랫폼 경제까지” 중에서 현대 사회에서 셀프서비스의 확산은 무인 계산대, 셀프 주유소, 온라인 뱅킹과 쇼핑 등 일상의 거의 모든 영역에 걸쳐 폭넓게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과거 슈퍼마켓에서는 계산원들이 모든 상품의 결제를 도왔지만, 현재 대부분의 매장에서는 소비자들이 직접 무인 키오스크를 통해 계산을 해야 한다. 소비자는 마치 직원처럼 상품을 직접 스캔하고 결제하는 작업을 수행하면서 자연스럽게 노동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기업은 이를 통해 인건비를 절약하고 서비스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만, 소비자는 이러한 노동에 대한 아무런 경제적 보상이나 혜택도 받지 못한 채 자신의 시간과 노력을 기업에 제공하게 된다. -03_“그림자 노동의 현대적 확장” 중에서 비판적 사고력 역시 AI 시대 인간 노동자가 갖춰야 할 핵심 역량이다. AI가 제시한 결과를 맹목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문제의 본질을 깊이 있게 파악하며 대안을 모색하는 능력을 인간 노동자는 필수적으로 갖춰야 한다. 기업의 전략 수립이나 정책 결정 등 복잡한 상황에서 인간의 비판적 사고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AI 시대에 노동 가치의 중심은 업무 수행에 대한 효율성이나 생산성에서, 창의성, 공감 능력, 비판적 사고력과 같은 인간 고유의 질적 역량으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역량을 키우기 위한 교육과 훈련 시스템의 재정비와 함께, 사회 전반에서 노동 가치를 새롭게 정의하는 논의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노동의 본질적 가치 회복을 통해 AI와 인간이 상호 보완적으로 협력하는 건강한 노동 환경이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06_“AI가 변화시키는 직업 구조와 노동의 가치” 중에서 이러한 협력적 업무 모델 구축을 위해 조직이 갖추어야 할 전략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조직은 인간과 AI의 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각각의 강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업무 프로세스를 설계해야 한다. 둘째, 노동자들이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기술적 교육과 함께, 인간의 고유한 역량인 창의력, 공감 능력, 비판적 사고력을 강조하는 별도의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AI 도입 과정에서 노동자의 불안과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AI가 인간 노동자의 역할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하는 파트너라는 인식을 조직 내에 명확히 전달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09_“AI 시대, 기업과 조직의 전략적 대응” 중에서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297612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69873162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51286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