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I와 메타 인지 학습법

발행일
2025/10/15
저자
황충연
소속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수출전문위원.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e-MBA 수료.
쪽수
137쪽
차례
AI와 제3의 눈: 인지의 시대, 학습을 다시 생각하다 01 타 인지란 무엇인가 02 메타 인지 학습법의 역사와 진화 03 AI를 통한 자기 점검 학습 04 AI 시대의 목표 설정과 메타 인지 05 전략적 학습법과 AI 기반 스캐폴딩 06 실시간 데이터로 학습 조절하기 07 실패로부터 배우기: 메타 인지 회복 전략 08 AI 시대의 자율성과 자기 주도 학습 09 협력, 성찰, 그리고 사회적 메타 인지 10 메타 인지와 학습의 미래
정가
12000원
ISBN
9791143007988
분야
교육
2 more properties
미리보기
미리듣기
정보는 쉽게 얻지만, 진짜 학습은 스스로를 점검할 때 완성된다. 이 책은 메타 인지를 통해 학습자가 능동적 주체로 성장하는 길을 보여 준다. AI 시대에 필요한 성찰과 전략을 제시한다.
메타 인지는 자신의 사고 과정을 인식하고 조절하는 능력으로,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서는 학습의 핵심 동력이다. 학습자가 전략을 계획하고 오류를 감지하며 사고를 유연하게 조정할 때 비로소 진정한 이해가 시작된다. 모든 학습 맥락에서 전이 가능한 자기 주도적 사고의 기반이 되며, 평생 학습 시대 학습자에게 필수적인 역량이다. -01_“메타 인지란 무엇인가” 중에서 특히 AI는 개인화된 질문을 던지고, 사고 과정을 요약해 주며, 다음 학습 단계를 제안하는 데 탁월하다. 이는 AI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반성적 사고의 동반자’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물론 AI가 인간 교사를 대체할 수는 없다. 하지만 교사와 협력하여 학생의 메타 인지적 성장을 지원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03_“AI를 통한 자기 점검 학습” 중에서 시각 정보 외에도 일부 AI 시스템은 심박수, 피부 전도도 등 생리 신호나 무작위 클릭 같은 상호 작용 데이터를 활용해 집중 상태를 추론한다. 낮은 집중이 감지되면 미니 퀴즈를 띄우거나 짧은 휴식을 제안하기도 한다. AI 챗봇은 적응형 질문으로 학습자의 반응을 유도한다. 학생이 문제를 틀리거나 머뭇거리면 “어떤 부분을 헷갈렸나요” 또는 “핵심 개념을 다시 설명해 드릴까요” 같은 반응을 제공한다. 이는 단순한 지식 확인을 넘어 학습자의 몰입을 유지하고 메타 인지 활동을 자극한다. -06_“실시간 데이터로 학습 조절하기” 중에서 인지적 편향은 출처의 신뢰성 판단을 흐리게 만든다. 특정 주장을 믿고 싶어 하는 학습자는 자신과 같은 입장의 정보만 받아들이고 반대 의견은 무시하기 쉽다. 메타 인지 전략 교육은 바로 이런 편향에 대한 자각에서 시작된다. 교사는 “내가 어떤 전제를 가지고 이 출처를 신뢰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해 학습자가 자신의 판단 기준을 돌아보도록 유도한다. 이는 단순히 정보를 평가하는 것을 넘어 자신의 사고방식까지 점검하는 메타 인지적 훈련이다. -09_“협력, 성찰, 그리고 사회적 메타 인지” 중에서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8086307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73388545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55296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