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I와 과학 수업

발행일
2025/10/20
저자
문선희, 김지연
소속
(문선희) 국어교육학 박사. 중학교 국어 교사. (김지연) 물리학, 교육학 석사. 중학교 과학 교사.
쪽수
136쪽
차례
교육 패러다임의 대전환과 AI의 등장 01 질문 중심 학습의 새로운 생태계 02 AI 도구의 교육적 활용 03 AI 파트너십의 핵심 원칙 04 AI 시대 교사의 역할 재정립 05 AI 파트너십 시대의 교사 전문성 06 AI가 바꾼 교실 07 AI와 글쓰기 수업, 그리고 평가 08 AI 교육 활용의 한계와 위험 09 영역별 AI 활용의 구체적 한계와 접근 원칙 10 AI 시대의 과학 교육의 미래
정가
12000원
ISBN
9791143010094
분야
과학
교육
2 more properties
미리보기
미리듣기
AI는 과학 수업에서 실험을 시각화하고 개별 맞춤 학습을 지원하며, 학생의 탐구를 촉진하는 지능형 동반자다. 가능성과 위험을 함께 짚으며 교실 혁신의 방향을 제시한다.
현대 과학 교육에서 생성형 AI는 바로 이러한 학생들의 자연스러운 호기심을 더욱 풍부하고 체계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 파트너로 자리 잡고 있다. AI는 단순히 정답을 제공하는 정보 검색 도구가 아니라, 학생과 함께 질문을 탐구하고 새로운 질문을 생성하며, 사고 과정 자체를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지적 동반자로 기능한다. 결국 AI는 학생 주도적 탐구 학습의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확장하고, 모든 학생이 자신만의 과학적 호기심을 충분히 펼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들 수 있다. -01_“질문 중심 학습의 새로운 생태계” 중에서 AI와의 파트너십에서 교사의 역할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더욱 중요하고 전문적으로 변화한다. 바로 지식 전달자에서 탐구 촉진자로의 이동이다. 전통적으로 교사는 과학 지식을 보유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했지만, AI 시대에는 이러한 정보 전달 기능이 상당 부분 AI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교사의 역할이 축소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고차원적이고 전문적인 역할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03_“AI 파트너십의 핵심 원칙” 중에서 더 흥미로운 것은 학생들이 AI와의 대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메타 인지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한 중학생이 클로드에게 “세포 분열에 관해 설명해 줘”라고 질문하고, AI 답변을 듣고 “잠깐, 내가 궁금한 건 그게 아니야. 세포 분열이 왜 일어나는지가 궁금해”라고 다시 질문을 수정할 수 있다면, 이는 학생이 자신의 학습 과정을 스스로 모니터링하고 조정하는 메타 인지 능력을 기르고 있는 것이다. 교사는 이런 과정을 유도하기 위해 “AI 답변을 들어 보고 정말 궁금했던 게 해결됐는지 확인해 보자”라고 안내할 수 있다. -06_“AI가 바꾼 교실” 중에서 AI 기술의 교육적 활용은 기술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인간 중심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기술적 효율성과 편의성에 현혹되어 성급하게 AI를 도입하기보다는, 교육의 본질적 가치와 학습자의 전인적 발달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윤리적 성찰이 선행되어야 한다. 각 교육 영역의 고유한 특성과 목적을 존중하면서 AI의 역할을 신중하게 제한하는 이러한 접근을 통해서만 AI 기술이 교육 발전에 진정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09_“영역별 AI 활용의 구체적 한계와 접근 원칙” 중에서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8135067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74015341 예스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