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I와 웹소설

발행일
2025/10/17
저자
박성준
소속
글로벌문화콘텐츠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성대학교 강사.
쪽수
132쪽
차례
AI 시대, 웹소설 창작의 새로운 지평 01 AI 시대의 창작 환경 이해하기 02 웹소설의 본질 03 웹소설, AI 창작에 유리한 이유 04 기획 도구로서의 AI 활용 05 취재 및 장면 묘사 보조 도구로서의 AI 활용 06 교정·교열 및 스타일 피드백 도구로서의 AI 활용 07 AI 웹소설 창작 플랫폼의 유형과 특징 08 주요 AI 웹소설 플랫폼의 실제 분석과 한계 09 AI 창작 웹소설의 문제점과 보완 방안 10 AI와 웹소설 창작의 미래, 작가의 새로운 위상
정가
12000원
ISBN
9791143012852
분야
예술
2 more properties
미리보기
미리듣기
웹소설은 AI가 가장 빠르게 접목되는 문학 장르다. 이 책은 기획부터 교정, 독자 참여까지 AI가 웹소설 창작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살펴보고, 가능성과 한계를 균형 있게 분석한다.
웹소설은 플랫폼의 개방성과 프로슈머 문화가 결합된 장르로, 누구나 독자이자 작가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도적으로 보장한다. 이는 곧 장르 규범이 고정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는 원동력이 되며, 동시에 방대한 데이터와 반복적 패턴을 필요로 하는 생성형 AI가 학습·창작하기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03_“웹소설, AI 창작에 유리한 이유” 중에서 AI는 웹소설 기획 단계에서 트렌드 탐색–세계관 설정–캐릭터 설계–플롯 배열이라는 주요 과정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그 기능은 어디까지나 전형적 요소를 드러내고 정리해 주는 수준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으며, 창작자가 스스로 이를 변주하고 해체할 때 비로소 독창성이 확보된다. 다시 말해, AI는 기획의 주체가 아니라 브레인스토밍 파트너이자 전형성을 비춰 주는 거울이라 할 수 있다. -04_“기획 도구로서의 AI 활용” 중에서 한 작가가 현대 판타지 소설을 집필하며 주인공의 직업을 ‘천문학자’로 설정했다고 하자. 작가는 천문학자의 구체적인 일과를 경험해 본 적이 없기 때문에 리얼리티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이때 AI에게 “천문학자의 하루 일과를 알려 달라”고 요청하면, AI는 관측, 연구, 학회 활동, 논문 작성 등의 업무를 포괄적으로 제시한다. 물론 이 정보를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지만 작가는 이를 토대로 보다 심층적인 자료 조사, 예컨대 학자 인터뷰나 전문 서적 탐독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처럼 AI는 ‘1차 취재’의 역할을 수행하며, 작가가 더 정밀한 2차·3차 검증으로 나아가도록 돕는다. -05_“취재 및 장면 묘사 보조 도구로서의 AI 활용” 중에서 따라서 미래의 작가는 단순한 창작자가 아니라 스토리 감독, 서사 디자이너, AI 오케스트레이터로서 기능하게 될 것이다. 인공지능이 과학적 발견과 기술적 혁신을 가능하게 했지만, 그것을 문화적 산물로 전환하고 사회적 의미를 부여하는 최종 주체는 여전히 인간 작가라는 점에서 작가의 위상은 해체가 아니라 변형과 재구성을 통해 강화될 것이다. -10_“AI와 웹소설 창작의 미래, 작가의 새로운 위상” 중에서
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