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I 휴머노이드 로봇

발행일
2025/10/10
저자
손영성
소속
컴퓨터공학 박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쪽수
108쪽
차례
인간을 닮은 기계, 왜 지금인가? 01 휴머노이드 로봇 시대의 서막 02 휴머노이드 로봇이란 무엇이며 왜 인간의 형태를 닮는가? 03 휴머노이드 로봇을 움직이는 핵심 AI 기술 04 최신 휴머노이드 로봇 AI 모델 동향 05 휴머노이드 로봇 AI가 마주한 기술적 난제 06 휴머노이드 로봇, 우리 삶으로 들어오다 07 휴머노이드 로봇 대중화를 가로막는 과제들 08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경쟁을 위한 제언 09 휴머노이드 로봇의 미래 전망 10 인간과 로봇의 공존,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정가
12000원
ISBN
9791143009739
분야
과학
AI
2 more properties
미리보기
미리듣기
인공지능과 로봇 공학이 융합된 인간형 로봇의 기술, 사회적 의미, 미래 전망을 다룬다. 돌봄과 산업 현장, 국가 전략까지 포괄하며, 다가올 휴머노이드 시대를 준비할 통찰을 제공한다.
휴머노이드 로봇이 필요해진 가장 큰 전환점을 만든 사건은 2011년 일본 도호쿠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였다. 당시 세계적으로 로봇 강국이라 불리던 일본조차, 고방사선 지역에 투입할 수 있는 실용적인 로봇이 부족했고, 이로 인해 원전 내부 진입과 긴급 조치를 하는 데에 심각한 지장을 겪었다. 이 사건은 전 세계에 “로봇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01_“휴머노이드 로봇 시대의 서막” 중에서 로봇을 위한 비전(vision) 기술은 로봇이 세상을 ‘보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기술은 단순한 이미지 인식을 넘어서, 로봇이 주변 환경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판단하며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요즘 로봇은 카메라, 거리 센서, 색상 센서 등을 통해 시각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언어·촉각 등 다양한 감각 정보와 결합해 ‘멀티모달’로 처리한다. -03_“휴머노이드 로봇을 움직이는 핵심 AI 기술” 중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은 물류 서비스 현장에서 박스 운반, 패키지 분류, 하역, 피킹(picking) 등 다양한 공정에 도입되고 있으며, 기존 자동화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 컨베이어 중심의 고정형 자동화 설비와 달리, 휴머노이드는 동적인 작업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고도화된 스마트 물류의 핵심 인프라로 떠오르고 있다. -06_“휴머노이드 로봇, 우리 삶으로 들어오다” 중에서 인간과 로봇은 궁극적으로 경쟁이 아닌 협업과 공존의 방식으로 진화할 것이다. 마치 스마트폰이 1인 1기기 시대로 일상을 바꿔 놓았듯, 앞으로는 ‘1인 1로봇’ 시대가 도래하며 개인·가정·기업·돌봄 등 다양한 영역에서 목적별 로봇이 보급될 것이다. 이들은 인간의 능력을 대체하기보다 보완하고 증강하는 동반자로 자리매김하며, 감정적 공감과 자연스러운 상호 작용이 가능한 감성 인터페이스를 갖춘 로봇으로 진화할 것이다. -09_“휴머노이드 로봇의 미래 전망” 중에서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939806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73014779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54845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