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I 도서관 트렌드

발행일
2025/10/24
저자
김지영
소속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전공 겸임교수. 인천광역시도서관발전진흥원 재직.
쪽수
124쪽
차례
AI 도서관 트렌드 01 AI와 도서관 02 AI 기반 도서관 서비스 03 AI와 스마트 도서관 04 AI와 디지털 아카이빙 05 AI와 정보 검색 06 AI와 공공 도서관 07 AI 리터러시와 도서관 08 AI 윤리와 도서관 09 AI 시대 사서의 역할 10 AI 전략과 도서관
정가
12000원
ISBN
9791143009791
분야
산업
2 more properties
미리보기
미리듣기
AI는 도서관의 업무와 서비스를 혁신하고 있다. AI 추천·챗봇·스마트 도서관 사례를 통해 변화의 방향을 짚고, 윤리와 개인정보, 사서의 전문성 문제를 함께 다룬다. 기술 중심을 넘어 인간 중심의 도서관 비전을 제시한다.
국내에서도 국립중앙도서관은 개인의 성향을 기반으로 AI 추천 시스템과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결합한 ‘AI 실감서재’를 도입했으며, 안양시와 광명시 등의 공공 도서관에서 AI 챗봇 서비스를 도입해 비대면 이용자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과 대학 도서관에서는 논문 추천, 학술 정보 검색 최적화, 자연어 기반 검색 엔진 적용 등을 추진 중이다. 이러한 변화는 이용자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서의 업무를 재편성하고 고도화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01_“AI와 도서관” 중에서 지능 정보 기술의 도입으로 이용자 중심의 자율적 정보 탐색 환경을 조성했다. 키오스크 기반 무인 시스템과 AI 도입으로 이용자는 도서 검색, 추천, 대출 등 도서관 서비스를 스마트 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 도서관은 무인 시스템을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자료를 이용할 수 있어서 이용자의 정보 이용에 대한 자율성과 편의성을 증진했다. 또한 지역 곳곳에 분산 설치된 스마트 도서관은 기존에 도서관 접근성이 낮았던 정보 소외 계층에게도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 사회 내 정보 격차 해소에 기여하고 있다. -03_“AI와 스마트 도서관” 중에서 공공 도서관의 과업 영역 및 과업 내용, 공공 도서관 사서들의 AI 기술을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제안을 바탕으로 AI 도서관 서비스 모델을 도출했다. 경영 관리 직무 분야에는 AI 기반의 대화형 업무 자동화 설루션 경영 관리, 지능형 예산 점검 및 관리 시스템을 통한 재무 관리, 제어 기술 로봇의 시설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06_“AI와 공공 도서관” 중에서 AI 기술이 도서관에 도입되면서, 챗봇을 통한 자료 검색, 알고리즘 기반 도서 추천, 도서관 안내하는 로봇 등 새로운 도서관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사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 이 질문은 사서의 역할뿐 아니라 도서관의 정체성에 대한 물음이기도 하다. AI 시대에 사서는 정보의 바다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선별하고 그 가치를 해석할 수 있는 전문성이 필요하다. -09_“AI 시대 사서의 역할” 중에서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8191050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74517902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59256954